비둘기는 세균 덩어리!…억울한 그들의 해명은?

출고 : 2017.07.13 22:00 | 수정 : 2017.07.19 09:32
뉴스에는 위아래가 없다 - 스브스뉴스

비둘기는 세균 덩어리!…억울한 그들의 해명은?

야, 내가 너희보다 깨끗해

#스브스뉴스

비둘기는 세균 덩어리!…억울한 그들의 해명은?

안녕. 나는 비둘기야. 한때 평화의 상징이었지.

#스브스뉴스

비둘기는 세균 덩어리!…억울한 그들의 해명은?

근데 사람들이 날 애물단지로 여기기 시작했어. ‘닭둘기’라고 놀림 받는 것도 모자라, 이젠 유해동물까지 돼버렸어.

#스브스뉴스

비둘기는 세균 덩어리!…억울한 그들의 해명은?

내 똥이 건물을 부식시킨다나. 나보고 더럽다고 하더라. ㅠㅠ

#스브스뉴스

비둘기는 세균 덩어리!…억울한 그들의 해명은?

그런데, 원래 우리는 더럽지 않아.

#스브스뉴스

비둘기는 세균 덩어리!…억울한 그들의 해명은?

산에서 사는 친구들은 물가에서 하루에 서너 번 씻어. 천적이 우리 냄새를 맡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야.

#스브스뉴스

비둘기는 세균 덩어리!…억울한 그들의 해명은?

도시에는 천적이 없어 씻을 필요가 없긴 하지만, 무엇보다 씻을 데가 없으니까 못 씻고 있는 거야.

#스브스뉴스

비둘기는 세균 덩어리!…억울한 그들의 해명은?

게다가 도시에는 인간들이 만들어낸 배출가스를 비롯한 각종 유해물질이 많아서 병균도 가지고 살게 됐지. 때문에 기형으로 태어나는 친구들도 있어.

#스브스뉴스

비둘기는 세균 덩어리!…억울한 그들의 해명은?

인간이 산에서 잘 살고 있는 우리를 살기 힘든 도시로 데리고 왔어.

#스브스뉴스

비둘기는 세균 덩어리!…억울한 그들의 해명은?

특히, 한국에는 1985년부터 외국 친구들이 들어 왔어. 당시 한국에는 비둘기가 많이 없었거든.

#스브스뉴스

비둘기는 세균 덩어리!…억울한 그들의 해명은?

1986년 아시안 게임과 1988년 올림픽 때 무려 3천 마리 정도를 도시에 풀었지.

#스브스뉴스

비둘기는 세균 덩어리!…억울한 그들의 해명은?

그때 도시에 자리 잡은 우리 선조들이 번식을 많이 했어. 도시에는 사람들이 버린 음식이 많아 먹을 게 많고 천적도 없으니까.

#스브스뉴스

비둘기는 세균 덩어리!…억울한 그들의 해명은?

그런데, 인간들은 이제 와서 우리를 유해동물로 지정해 다 잡겠다고 하네.

#스브스뉴스

비둘기는 세균 덩어리!…억울한 그들의 해명은?

야생성을 잃어서 다시 산으로 돌아가기도 어려운 데 말이야

#스브스뉴스

비둘기는 세균 덩어리!…억울한 그들의 해명은?

만약 인간들이 우리를 산에 그냥 뒀으면 우린 이런 처지가 되지 않았을 거 같아. <이 기사는 국립중앙과학관 조류전문가 백운기 박사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재구성한 1인칭 뉴스입니다.>

#스브스뉴스

비둘기는 세균 덩어리!…억울한 그들의 해명은?

인간은 비둘기를 평화의 상징으로 추켜세우며 도시에 마구 풀었습니다. 그 결과 비둘기는 유해 동물로 지정됐습니다. 비둘기는 억울합니다.

#스브스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