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묻어버린 이야기

출고 : 2017.02.22 11:07 | 수정 : 2017.02.27 13:51
뉴스에는 위아래가 없다 - 스브스뉴스

우리가 묻어버린 이야기

우리가 묻어버린 이야기

#스브스뉴스

우리가 묻어버린 이야기

구제역, AI 2010년 145일간 대한민국은 동물들의 전염병에 휩싸였습니다. 병에 걸린 동물들은 살처분 되어 땅에 파묻혔습니다.

#스브스뉴스

우리가 묻어버린 이야기

“일렬로 다닥다닥 줄지어 구덩이에 떨어지는 동물들. 마치 살려달라며 울부짖는 것 같았어요.” - 문선희 사진작가 이 장면을 목격한 문선희 씨는 마음이 무거웠습니다.

#스브스뉴스

우리가 묻어버린 이야기

그곳은 어떻게 변했는지 궁금했습니다. 선희 씨는 무작정 오리를 묻은 한 농가를 찾아갔습니다.

#스브스뉴스

우리가 묻어버린 이야기

살처분 뒤 3년이 지났건만 차에 내리자마자 썩은 냄새가 진동했습니다.

#스브스뉴스

우리가 묻어버린 이야기

오리떼가 파묻힌 땅은 평생 처음 본 기괴한 색을 뿜으며 신음하고 있었습니다.

#스브스뉴스

우리가 묻어버린 이야기

자정 능력을 잃은 나머지 새하얀 눈처럼 곰팡이가 핀 곳도 있었습니다.

#스브스뉴스

우리가 묻어버린 이야기

땅 전체가 죽은 듯 보였지만 간혹 힘겹게 생명이 움트고 있었습니다. 안쓰러웠습니다.

#스브스뉴스

우리가 묻어버린 이야기

“기괴한 땅을 보며 저도 공범이라 생각했어요. 당장 뭐라도 해야겠다 싶었죠.” - 문선희 사진작가 충격을 받은 선희 씨는 다른 매몰지를 찾아가 보기로 했습니다.

#스브스뉴스

우리가 묻어버린 이야기

그녀는 그때부터 매몰지 100곳을 목표로 약 1년 동안 전국을 돌아다녔습니다.

#스브스뉴스

우리가 묻어버린 이야기

“아침마다 기도했어요. 부디 (그 땅에) 아무 일도 없어서, 사진 찍을 게 없게 해달라고…” - 문선희 사진작가

#스브스뉴스

우리가 묻어버린 이야기

“제가 목격한 모습과 땅의 울부짖음을 고스란히 담을 수 있도록 무릎 꿇고 정면으로 최대한 다가가 찍었어요.” - 문선희 사진작가

#스브스뉴스

우리가 묻어버린 이야기

“사람이 저지른 일을 수습하기 위해 땅이 엄청나게 애쓰는 것 같았어요. 우리가 묻은 게 동물인지 인간성인지..” -문선희 사진작가 죄책감 든 선희 씨는 이 사진을 다른 사람들에게도 공유하기로 결심했습니다.

#스브스뉴스

우리가 묻어버린 이야기

그녀는 제사를 지내는 마음으로 한 사찰 옆 미술관에서 사진을 전시했습니다. 전시회의 이름은 <묻다>.

#스브스뉴스

우리가 묻어버린 이야기

그림 옆엔 사진이 찍힌 지점에 파묻힌 동물의 숫자를 적었습니다.

#스브스뉴스

우리가 묻어버린 이야기

혐오스럽다고 비난받진 않을까 걱정했지만, 사람들 반응은 의외였습니다. “너무 충격적이에요.” “인간이란게 부끄러울 정도예요.” - <묻다> 전시 관람객

#스브스뉴스

우리가 묻어버린 이야기

“아버지가 오리 농장을 하셨는데 살처분의 충격으로 돌아가셨어요. 아무도 기억 못 하는 이야기를 대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묻다> 전시 관람객 살처분의 고통을 직접 겪은 가족이 찾아와 감사를 전하기도 했습니다.

#스브스뉴스

우리가 묻어버린 이야기

동물 비명 소리가 잦아들지 않던 그날의 아픔과 슬픔. 수년이 지나 우리에겐 잊혀졌지만, 땅은 여전히 그 기억을 간직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그날 묻은 것은 무엇일까요?

#스브스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