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교신도시 만드는 수준"…정부 발표 주택 공급안 보니


동영상 표시하기

<앵커>

정부가 내년 수도권에 2만 9천 가구의 공공분양 주택을 공급하기로 했습니다. 지난 9·7 공급 대책의 후속 조치로 공급에 속도를 내는 겁니다.

판교신도시를 하나 더 만드는 것과 같은 효과라는 게 정부의 설명인데, 실제 효과가 있을지 유덕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경기도 고양 창릉지구의 공공분양 택지입니다.

내년 3천800가구 분양을 목표로 부지 조성 작업이 한창입니다.

[이정식/LH 고양사업본부 소장 : 신도시 공동주택 적기 공급을 위해서 면밀한 공정 계획을 수립하고 (진행 중입니다.)]

정부는 내년에 이곳을 포함한 수도권 공공택지에서 2만 9천 가구를 분양하기로 했습니다.

지난 9·7 공급 대책 발표 때보다 2천 가구 늘어난 것으로, 최근 5년간 수도권 평균 분양 물량과 비교하면 2.3배 수준입니다.

[김배성/국토교통부 공공주택추진단장 : 판교급 신도시를 하나 새로 조성하는 것에 준하는 규모입니다. 공공주택 착공 확대 노력의 성과가 가시화되고 있다는 점을 강조 드리고 싶습니다.]

광고 영역

지역별로는 2기, 3기 신도시에서 1만 5천여 가구, 그 외 중소택지에서 1만 3천여 가구입니다.

정부는 내년 공급 물량 상당수가 주거 환경과 교통편이 좋아 수요가 클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9·7 공급 대책 후속 조치에 속도를 높이는 양상인데, 서울에 집중된 수요를 분산하는 데 한계가 있을 거란 지적도 나옵니다.

공급 물량의 82%가 경기도에 집중돼 있고, 서울 공급지는 고덕강일이 유일한데 규모가 1천300여 가구에 불과합니다.

[함영진/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 : 집값 불안의 진앙지인 (서울) 공급의 확대는 단기적으로 크게 늘리지 못했다는 점은 아쉬운 부분입니다. 9·7 대책에서 얘기했었던 공공청사 역세권 그리고 유휴 부지를 활용한 부분에 대한 현실화가 (중요합니다.)]

정부는 LH가 보유한 비주택용지를 주택용으로 전환해 공급에 속도를 붙이기로 했는데, 남양주 왕숙과 파주운정, 수원당수 지구에 4천100가구를 공급하기 위한 용도 변경 절차에도 착수했습니다.

(영상취재 : 오영춘, 영상편집 : 김진원, 디자인 : 이연준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