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공공분양 내년 2만 9천 가구…"판교급 신도시 조성한 것"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 3기 신도시 남양주 왕숙 공공택지지구

내년에 수도권(서울·경기·인천) 공공택지에서 2만 9천 가구 규모의 분양 물량이 풀립니다.

국토교통부는 오늘(26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SH)·경기주택도시공사(GH)·인천도시공사(iH)와 내년 3월부터 연말까지 이러한 규모의 공공분양주택을 순차로 공급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정부가 지난 9·7 주택 공급 대책에서 발표한 수치(2만 7천 가구)보다 2천 가구 증가한 규모입니다.

특히 최근 5년간(2021∼2025년) 수도권 평균 분양 물량(1만 2천 가구)의 2.3배 수준이자, 4개 공공기관의 올해 분양 물량(2만 2천 가구) 대비 32.2% 늘어난 수치입니다.

국토부는 "2만 9천 가구 규모인 판교급 신도시를 하나 새로 조성한 것에 준하는 수준"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지역별로 서울 1천300 가구, 인천 3천600 가구, 경기 2만 3천800 가구입니다.

지구별로는 3기 신도시 7천500 가구, 2기 신도시 7천900 가구, 기타 중소택지 1만 3천200 가구입니다.

광고 영역

3기 신도시에서는 고양창릉 3천881 가구, 남양주왕숙 1천868 가구, 인천계양 1천290 가구 등입니다.

2기 신도시는 평택고덕 5천134 가구, 광교 600 가구, 화성동탄2 473 가구입니다.

중소택지에서는 고덕강일 1천305호 가구, 검암역세권 1천190 가구, 구리갈매역세권 287 가구 등이 공급될 예정입니다.

아울러 올해 남은 기간에도 이달 남양주왕숙(881 가구), 군포대야미(1천3 가구)를 포함해 총 5천100 가구가 수도권에서 추가로 분양될 예정입니다.

이 밖에 국토부는 LH 직접 시행 확대 정책의 일환으로 발표했던 LH 소유의 비주택 용지 용도 전환 정례화 제도 또한 첫발을 내디뎠다고 소개했습니다.

앞서 정부는 지난 9·7대책을 통해 장기간 활용되지 않거나 과도하게 계획된 비주택 용지의 용도와 기능을 정례적으로 심의하고, 필요시 주택용지로 전환하는 '공공택지 재구조화' 제도 도입을 추진한다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

그러면서 제도 도입 전에는 우선 추진 물량으로 1만 5천 가구의 공급 계획을 수립했습니다.

이날 LH는 우선 추진 물량의 28%인 4천100 가구 규모의 공공주택 공급을 위해 유보지 등 비주택 용지의 용도 조정안을 담은 관련 계획 변경안을 국토부에 제출했습니다.

조정 대상 입지는 3기 신도시인 남양주 왕숙(455 가구), 2기 신도시인 파주운정3(3천200 가구), 중소 택지인 수원당수(490 가구)입니다.

사업지별 공공주택은 지구계획 승인 등 일련의 절차를 거쳐 순차로 공급할 계획이며, 특히 수원당수는 내년 중 주택 착공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국토부 김배성 공공주택추진단장은 "도심에 여러 유휴 부지를 찾아 주택을 공급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당초 예상과 달리 오랫동안 쓰이지 않는 부지를 적극적으로 용도 전환해서 주택을 공급하는 것도 매우 의미 있는 작업"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