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계엄에 가담한 공무원들을 솎아내겠다는 정부 TF가 오늘(21일)로 구성을 마쳤습니다. TF는 다음 주부터 내년 1월까지 가동되고, 앞으로 3주간 관련 제보를 받을 내란 행위 제보센터도 운영됩니다.
김수영 기자입니다.
<기자>
계엄 사태에 가담한 공무원들을 가려내고 조사하겠단 정부 TF는 '헌법존중정부혁신TF'란 이름의 국무총리실의 총괄 조직과 49개 정부 기관별 TF로 구성됩니다.
총괄 조직은 윤창렬 국무조정실장을 단장으로 총리실 직원 20명이 투입됩니다.
외부 자문위원 4명도 오늘 위촉됐는데, 군, 경찰, 법조, 조직인사 분야의 전문가들이라고 총리실은 설명했습니다.
각각 임태훈 군인권센터 소장, 최종문 전 전북경찰청장, 김정민 변호사, 윤태범 방통대 행정학과 교수입니다.
[임태훈/군인권센터 소장 ('헌법존중TF' 자문위원) : 명백한 내란 행위에 가담한 사람들이 공직사회에서 승진하고 있는 것이 문제고….]
임 소장은 지난해 총선 때 민주당 위성정당의 비례대표 후보로 추천됐다가 컷오프된 적이 있고, 김 변호사는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심판에서 국회 측 법률대리인으로 활동했으며, 윤 교수는 이재명 정부 국정기획위원회에서 활동한 이력이 있기 때문에 '친여 성향 인사들'이란 지적입니다.
오늘까지 49개 기관별로도 기관장을 단장으로 하는 10명 안팎의 TF가 구성됐는데, 일부 구성원들이 계엄에 동원됐던 군과 경찰 등 12개 '집중 점검기관'엔 더 많은 인원이 TF에 배치됐습니다.
국방부는 안규백 장관을 단장으로 민간위원 2명을 포함해 50여 명으로 TF를 꾸렸고, 경찰은 20명 규모로 TF를 구성하고, 경찰청 근처에 별도의 사무실도 마련했습니다.
총리실과 각 기관엔 '내란 행위 제보센터'가 설치돼 다음 달 12일까지 운영됩니다.
총리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제보를 받은 뒤 신빙성 등을 검토해 조사할 것"이라며 "무분별한 투서 방지 등을 위해 센터를 한시적으로 운영한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공직 인사철을 앞두고, 음해성 제보가 난무할 거란 관가의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이번 TF에 대해 민주당은 "공직사회에 대한 국민적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최소한의 조치"라고 평가했고, 국민의힘은 "전두환 신군부를 능가하는, 야만적인 공무원 줄 세우기"라고 비판했습니다.
(영상취재 : 정성화, 영상편집 : 전민규, 디자인 : 박태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