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도 반쪽 추도식…유족 "강제동원 부정, 억울해"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 한국 정부가 21일 일본 니가타현 사도섬 사도 광산에서 강제노역한 조선인 희생자의 한국인 유족들을 위한 추모식을 현지에서 열었다. 사진은 헌배하는 유족들의 모습

일제 강점기 사도섬에 강제동원된 한국인 희생자들에 대한 한국 측 추도식이 오늘(21일) 오전 10시 일본 니가타현 사도섬에서 개최됐습니다.

사도섬 내 한 호텔에서 개최된 추도식에 정부 대표로는 이혁 주일대사, 희생자 7명의 유가족 11명이 참석했습니다.

유족들은 어제 외교부 관계자들과 일본 니가타현으로 출국해 배편으로 사도섬에 도착했습니다.

이 대사는 추도사에서 "사도섬에는 조선총독부의 관여 하에 모집, 관알선 및 징용 등의 방식으로 자신의 의사에 반하여 동원돼 강제로 노역해야 했던 많은 한국인 노동자들이 있었다"며 "모든 노동자들의 명복을 빌며 유가족께 깊은 위로와 애도의 뜻을 전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사도섬 주민들이 한국인 노동자들에 대한 '조용한 추모'를 이어왔다고 언급한 뒤 "한일 양국이 고통과 아픔의 역사를 함께 기억하며 협력과 연대의 밝은 미래로 나아가길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사도광산에 강제동원된 고 이봉석 씨의 아들 이철규씨는 유족 대표 추도사에서 부친이 한국에 돌아온 이후에도 "숨이 가빠 힘든 일을 하실 수도 없었고, 시골에서 나무 하나도 하실 수 없었다"면서 "이 낯설고 먼 땅에서 너무 고생하셨다"며 영면을 빌었습니다.

유족들은 지난해 추도식 장소였던 사도광산 조선인 기숙사 터 제4상애료를 둘러보고 헌화했습니다.

광고 영역

행사에 참석한 또 다른 유족 윤상환 씨는 조부가 가족을 대표해 사도광산에서 노역을 했다면서 일본이 강제동원 사실을 부인하는 것에 대해서는 억울하다고 말했습니다.

일본은 지난해 사도광산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면서 전체적인 역사를 알리겠다고 약속하고, 매년 7-8월 한국과 공동 추도식을 개최하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사도광산 시설 내에 강제동원에 관한 기록은 표기하지 않고 있고, 공동 추도식은 추도사에 '강제성'을 나타내는 문안과 관련해 접점이 마련되지 않음에 따라 2년 연속 개최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앞서 일본은 지난 9월 13일 일본 측 인사들만 참석한 가운데 별도의 추도식을 개최했습니다.

사도광산은 에도시대에 금광으로 번성했던 곳입니다.

태평양 전쟁이 본격화한 이후에는 전쟁 물자 확보를 위한 광산으로 활용됐고, 식민지 조선인들은 혹독한 환경 속에서 차별을 받으며 노역을 강요받았습니다.

1940년부터 1945년까지 사도광산에서 노역한 조선인 수는 1,519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정부는 추도식이 취지와 성격에 합당한 내용과 형식을 갖춰 온전하게 치뤄져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과거사 문제에 대해 강경한 입장인 다카이치 내각 하에서 전향적 입장 변화를 기대하기는 사실상 어렵다는 점에서 내년에도 공동 추도식이 개최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됩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