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담야담

[여담야담] 정청래·장동혁, 강성 지지층만 좇는 여야 대표들?


동영상 표시하기

[편상욱의 뉴스브리핑]

인터뷰를 인용보도할 때는 프로그램명 'SBS <편상욱의 뉴스브리핑>'을 정확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저작권은 SBS에 있습니다.

■ 방송 : SBS <편상욱의 뉴스브리핑> 월~금 (14:00~16:00)

■ 진행 : 편상욱 앵커

■ 대담 : 김병주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정성국 국민의힘 의원

광고 영역

--------------------------------------------

● 극단 치닫는 '강성' 경쟁

김병주 /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정청래 대표, 당원과의 소통 중시…딴지일보, 뉴미디어 통한 소통 예시"

정성국 / 국민의힘 의원

"장동혁 발언, 당 중론과 일정 부분 괴리 있어…선거 이기려면 중도 민심 가져와야"

▷ 편상욱 / 앵커 : 민주당 정청래 대표와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가 나란히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논란이 촉발된 발언부터 직접 듣고 대담 이어가 보겠습니다. 양당 대표가 또 비슷한 시기에 공교롭게 양극단의 얘기를 해서 한번 모아봤는데, 김병주 최고께서는 민주당 최고위원이시니까 일단 정청래 대표 얘기부터 여쭤볼게요. 딴지일보가 민심의 바로미터가 되는 게 맞습니까? 집권여당 대표로서. 

▶ 김병주 /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 일단은 정청래 대표와 장동혁 대표를 저렇게 비교하는 건 아주 적절하지 않고요. 장동혁 대표는 극우 정당으로 가겠다는 거 아닙니까. 우리가 황교안이다 하면서 지금도 황교안이나 전광훈 다 끌어안겠다는 거 아니겠습니까. 전광훈이 누구입니까. 서부지법 폭동 사태 배후로 수사받고 있고 내란을 옹호하고 있고 황교안은 대표적인 부정선거론자 아니겠습니까. 그리고 내란을 옹호하고 내란 정당의 길로 가고 있는 저런 모습에 있는 장동혁 대표와 정청래 대표를 비교하는 것은 전혀 안 맞고 정청래 대표의 저 말은 사실은 전체 맥락 속에서 봐야 합니다. 초선들을 대상으로 하는 얘기였고요. 정청래 대표는 누구보다도 당원들 과의 소통을 중시 여깁니다. 소통하기 위해서는 딴지 커뮤니티라든가 여러 커뮤니티를 봐야 하고 뉴미디어를 통해서 늘 소통하도록 얘기를 하고 있습니다. 그런 측면에서 소통을 얘기한 그런 예를 들어서 이렇게 얘기한 것이고요. 그렇기 때문에 정청래 대표는 당원들과의 소통을 얘기하는데 장동혁 대표는 극우와의 결합을 얘기해서 극우 정당으로 가겠다는 걸 천명한 거 아니겠습니까. 내란 정당으로 가겠다는 것, 부정선거 정당으로 가겠다는 것. 그러니까 비교의 대상이 전혀 아니라고 봅니다. 

▷ 편상욱 / 앵커 : 비교를 하지 않는다면 정청래 대표 말만 떼놓고 생각하면 딴지일보가 민심의 바로미터라고 초선들한테 이야기했다는 것은 딴지일보는 다들 아시다시피 민주당의 강성 지지층들의 커뮤니티라고 규정할 수 있지 않았습니까? 그러면 중도층은 좀 멀리하고 난 강성 지지층을 챙기겠다. 이런 뜻으로도 해석할 수 있는 것 아니에요? 

▶ 김병주 /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 그 앞에 전제를 보십시오. 그거는 여러 개의 정청래 대표가 지난번에 당원 대회에서도 뉴미디어를 소통을 강조하면서 앞에 여러 개를 예를 들어요. 그중에 우리 지지층들이 있는 커뮤니티가 많이 있는데 본인은 딴지일보에 오랫동안 이렇게 글도 내고 같이 소통한다, 그런 취지에서 얘기한 것으로 저는 보이고요. 그리고 대표는 늘 성향이 소통, 국민과의 소통, 당원과의 소통을 늘 매일 매일 하는 그런 측면을 강조했다고 저는 이해하고 있 습니다. 

▷ 편상욱 / 앵커 : 정성국 의원께는 장동혁 대표 이야기 좀 물어볼게요. 우리가 황교안이다, 이런 얘기를 해서 또 크게 반응 있었고 어떤 쪽인지 제가제가 말씀을 안 드리겠습니다만 이 앞에 들었던 얘기로부터는 자유민주당부터 우리공화당, 자유통일당, 황교안 전 대표 이렇게 다 같이 연대할 수 있다, 이것을 두고서 지금 김병주 최고께서 극우와 연대하겠다는 뜻인데 정청래 대표의  딴지일보와는 비교 대상이자체가 아니다. 이렇게 말씀을 하셨습니다. 

▶ 정성국 / 국민의힘 의원 : 일단 우리 당 이야기를 먼저 좀 드리면 지금 장동혁 대표가 가지는 생각이 이렇게 저희 일반 국민의힘 의원들이 가지는 생각하고도 일정 부분은 좀 괴리도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 왜냐하면 저희는 지금 의원들은 바로 주말에 지역에 내려갑니다. 그러면 차기 지방선거를 준비하는 어떤  지방 기초지자체장이라든지 시의원 구의원들과 늘 접촉을 합니다. 그러면 이분들은 내년 지선이 너무 자기의 정치 생명을 걸고 임하고 있는. 

▷ 편상욱 / 앵커 : 그렇죠. 

▶ 정성국 / 국민의힘 의원 : 지금 최전투 전선입니다. 그런데 우리가 선거에서 이기기 위해서는 우리 강성 지지층도 필요하고 또 우리의 근본적 지지층도 필요하고 또 반드시 있어야 할 부분이 중도의 민심입니다. 이 중도의 민심을 가져오지 않으면 우리는 딱 그 선에서 멈출 수밖에 없다는 것은 누구나 다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지금 장동혁 대표는 어떤 말씀을 하시냐하면 일단 올해 연말까지는 우리 지지층부터 먼저 다지자. 그리고 내년에 중도로 가는 쪽으로 지금 말을 하시는 것 같은데 이에 대한 우려가 나오는 이유는 뭐냐 하면 우리가 이미지가 고착화가 돼 버리면 이게 짧은 시간에 국민들에게 여론을 반전시키거나 인식을 드리기 상당히 어려운 면이 많습니다. 계산상으로는 올해 연말까지는 이런 전략을 취하고 내년에 이런 전략을 취하겠다는 게 맞는 것처럼 보일지 몰라도 지금 장동혁 대표가 가지는 이런 생각들이나 이런 모습들이 국민들에게 자꾸 우를, 극우로 가는 것 같은 느낌을 자꾸 주게 된다면 나중에 정말로 중도로 가고 싶더라도 이것은 정치쇼가 될 수가 있다. 저 진심이 아니라는 식으로 받아들이면 어떻게 되겠습니까. 그래서 대표가 된 이후에 일관되게 일관되게 우리 당은 국민을 바라보고 민심을 바라보고 또 중도를 중시한다는 것을 보여줘야 하거든요. 그런 부분에 있어서 이번에 말한 우리가 황교안이다에 대한 부분들이 그 본인이 가졌던 그런 의미를 떠나서 그 표현들이 굉장히 좀 국민들이 받아들이시기에는 좀 불편한 마음들이 많지 않았겠느냐. 그래서 당에서도 우려한 이야기들이 나왔던 것이고요. 그래서 지금 방송에서 말씀한 저런 부분들도 우리 당이 분명히 가야 할 부분은 과거에 우리가 좀 어렵게 많은 정치를 했던 때에 있어서 좋은 영향을 주지 않았던 세력들을 무조건 끌어들인다기보다는 그 부분에 대한 분명한 선과 검증이 있어야 된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 편상욱 / 앵커 : 장동혁 대표한테 당내외에 이런 의견들이 잘 전달이 되고 있습니까. 장동혁 대표가 중도층으로 다시 오기보다는 계속 또 오른쪽으로 가고 있는 것 같은 행보를 보여서 드리는 말씀입니다. 

광고 영역

▶ 정성국 / 국민의힘 의원 : 저는 우리가 보면 또 우리 당 안에 나름 또 정치가 또 생각차가 있는 분들이 계시잖아요. 어떻게 보면 언론에서도 이걸 계파라고 이야기를 하기는 하는데 지금은 우리 당이 가고 있는 길이나 이런 부분들. 이런 부분들에 대해서는 좀 계파를 불문하고 우려하는 목소리를 좀 공존하고 있거든요. 그렇다면 우리 당 지도부도 지금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내년 지선입니다. 지선을 승리하기 위한 전략으로 갈 때, 과연 이러한 행보들이 어떤 도움이 되는지에 대한 냉철한 분석을 좀 해 봐야 되지 않느냐. 그리고 정말 국민들의 여론을 더 좀 엄중하게 봐야 한다. 지금 저희 당의 지지율이 지금 정체 현상을 보이고 있고, 이런 대장동 이슈가 터졌는데도 불구하고 지지율이 지금 거기에 대한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런 부분에 대해서 저희가 민심의 어떤 경고나 이런 부분들을 좀 엄중하게 바라봐야 한다고 말씀드리고요. 마지막으로 정청래 대표 이야기를 안 할 수가 없습니다. 정청래 대표께서는 강성 지지층의 지지를 받아서 당 대표가 됐습니다. 그리고 임기가 보궐선거로 된 분이잖아요. 내년에 대표 선거를 다시 해야 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본인을 뽑아주고 본인을 밀어줬던 분들에 대해서 읍소 전략을 안 올 수가 없겠죠. 그러니까 제가 보기에는 이 딴지일보가 민심의 바로미터라는 이런 어떻게 보면 편향된 말씀을 하시는 거죠. 김어준의 딴지일보는 누가 보더라도 편향된 정치 의식을 발현하는 곳으 로 저희가 인식을 많이 하고 있습니다. 그것이 어떻게 민심의 바로미터가 되겠습니까. 그래서 본인께서 당 대표가 되기 위해서 선거 전략상 그런 말을 한다 하더라도 이것을 민심의 바로미터라는 이런 표현보다는 내가 여기를 이 딴지일보나 이런 데 있어서 의견을 많이 본다, 이런 식으로 말을 더 바꿔어야 하지 않을까요. 저는 그렇게 봅니다. 

▷ 편상욱 / 앵커 : 김병준 최고위원 일단 정청래 대표 얘기 나온 김에 당내 선거와 지방선거 후보자 공천에 권리당원 표심을 강조하는, 그러니까 1인 1표제로 하는 것을 당헌당규 개정안을 전 당원 투표에 붙이겠다고 했다가 반나절 만에 번복하고 여론조사였다, 이렇게 바꿨잖아요. 이건 어떻게 봐야 됩니까. 

▶ 김병주 /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 그것은 뭐 지금 저희 당의 지향하는 분야는 1인 1표제 당원 중심입니다. 이것은 이재명 대통령께서도 대표 시절에 당원의 주인인 당을 만들겠다 해서 대의원의 50표 정도 있는 걸 20표로 낮췄고요. 정청래 대표도 당원이 주인인 정당을 만들어야 되겠다 해서 1인 1표제, 당원이 1명이 1인 1표제를 하려고 하고 있고요. 이런 것들은 이번에 사실 전당원 투표로 하려고 했었는데 이것은 어쨌거나 여론을 듣는 형식이든 투표 형식이든 찬반을 물어서 결정을 하는 거거든요. 당론을 바꾸는 거기 때문에 그래서 그러한 당론을 바꾸는 과정에서 여론 수렴 과정에서 좀 오해가 있는 면이 있었잖아요. 그렇기 때문에 오해를 풀고 이제 여론 수렴하고 다양한 과정을 거쳐서 당론을 최종 결정하겠다는 거죠. 당론이 잡음이 있는 상태에서 결정이 되면 또 거기에 대해서 논란이 되잖아요. 그래서 문제 없게 하기 위해서 방법을 여러 가지로 하고 저것도 그만큼 당원의 의견을 존중한다는 겁니다. 저도 1인 1표제 당원 투표한다고 할 때, 그게 오해가 가는 문구가 있었어요. 10월 당비를 납부한 사람에게 투표권을 주겠다 했는데 사실은 제가 알아봤더니 6개 월 당비를 납부하고 10월까지 한 사람에게 주겠다는 걸 앞에 걸 빼다 보니까 우리 당원들이 오해를 하고 당의 여러 가지 불평불만이나 문제 제기를 했었거든요. 그래서 그걸 이제 우리는 철저히 당원들의 얘기를 수렴을 하는 겁니다. 수렴을 해서, 그러면 여론조사를 해서 의견을 또 다양하게 더 들어보고 결정하겠다, 이런 걸로 이해해 주시면 되고요. 그렇게 매끄럽지 못하게 한 면에서는 좀 더 앞으로 유의해야 되겠다라고 지휘부에서도 생각하고 또 사무총 장이나 사무국에서도 그렇게 하도록 저희들이 요구를 했습니다.

※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SBS 디지털뉴스편집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여담야담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