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정부가 대장동 개발비리 항소 포기에 반발한 검사장들을 평검사로 강등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정성호 법무부 장관이 조직의 안정이 최우선이라는 입장을 밝혔지만 검찰 고위 간부들이 잇따라 사퇴의사를 밝히는 등 내부 반발이 격화하고 있습니다.
한성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어제(17일) 아침 출근길 정성호 법무장관은 대장동 항소 포기에 반발한 검사장들을 징계하는 방안을 검토하느냐는 질문에 중요한 건 조직의 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정성호/법무부 장관 (어제) : 지금은 특별히 드릴 말씀은 없고요. 우리 법무나 검찰이 안정되는 게 가장 중요한데, 어떤 것이 좋은 방법인지 고민을 많이 하고 있습니다.]
앞서 검찰이 대장동 사건 항소를 포기하자, 김태훈, 임은정 검사장을 제외한 전국 일선 지검장과 고검 차장 등 검사장 18명은 지난 10일 경위 설명 등을 요구하는 입장문을 냈습니다.
민주당을 비롯한 여권은 이들의 행동을 항명으로 규정하고 감찰과 징계를 요구하고 나섰고, 법무부는 이들을 평검사로 전보 조치하는 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는 걸로 알려졌습니다.
정 장관은 검찰 내부 반발과 우려가 있단 지적에 "특별히 그런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안다"고 답했는데, 이후 검찰 내 반발은 격화하고 있습니다.
관련 입장문에 이름을 올렸던 검사장 가운데 최선임인 박재억 수원지검장이 사의를 밝혔습니다.
자신을 비롯한 검사장들에 대한 징계 논의 움직임에 반발하는 차원으로 풀이됩니다.
앞서 사법연수원 동기인 노만석 전 총장 대행에게 항소 포기 경위를 제대로 설명해야 한다는 의견을 전한 것으로 알려진 송강 광주고검장도 사의를 표명했습니다.
검찰 내부망엔 검사장 강등 조치를 반대하는 글도 올라왔습니다.
공봉숙 서울고검 검사는 "합리적 의문을 제기한 공무원들을 징계·형사처벌 하고 강등시키겠다고 한다"며 "어처구니없는 겁박"이라 비판했고, 한 검사장은 SBS와의 통화에서 "경위 설명을 요청한 글을 입맛대로 과하게 해석한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새로운 검찰 수장을 맡게 된 구자현 총장 대행은 관련 질문에 말을 아꼈습니다.
[구자현/검찰총장 직무대행 (어제) : (집단성명 낸 검사장들 평검사로의 전보 추진 어떻게 보시나요?) …….]
대장동 항소 포기와 검사 징계 추진으로 인한 검찰 반발이 간부들의 줄사퇴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영상취재 : 설민환, 영상편집 : 박진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