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보다 어려웠던 수능 국어…표준점수 최고점 5점씩 오를 듯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 16일 서울의 한 학원에서 열린 수능 가채점 설명회에서 학부모들이 대입 지원 관련 자료를 살피고 있다.

지난해보다 어려웠다고 평가받는 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국어 영역의 표준점수가 전년 대비 5점가량 오를 것이라는 입시업계의 관측이 나왔습니다.

메가스터디는 70만여 건의 메가스터디교육 채점 서비스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026학년도 수능 국어 영역 표준점수 최고점이 화법과 작문은 141점, 언어와 매체는 144점으로 예상된다고 오늘(17일) 밝혔습니다.

작년 화법과 작문이 136점, 언어와 매체가 139점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각각 5점씩 오른 수치입니다.

통상 시험이 어려워 평균이 낮으면 표준점수 최고점은 상승하고, 반대로 시험이 쉬워 평균이 높으면 표준점수 최고점은 하락합니다.

이번 수능 국어 영역은 특히 '불(火) 국어'였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국어의 체감 난도가 높았던 것으로 평가받습니다.

메가스터디에 따르면 국어 영역에서 정답률 60% 이하 문항은 작년에는 6문항이었지만, 올해는 11문항으로 83.3%(5문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수학 영역의 경우 작년 17문항에서 올해 13문항으로 23.5%(4문항) 감소했습니다.

광고 영역

그러나 표준점수 최고점은 지난해 140점에서 올해 142점으로 상승했는데, 이는 최상위권을 가르는 정답률 20% 이하의 문항이 지난해 3문항에서 올해 6문항으로 2배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탐구 영역에서는 사회탐구와 과학탐구에서 정반대의 결과가 나왔습니다.

사탐은 정답률 60% 이하 문항이 56개로 전년보다 10개 증가했으나 과탐은 40개로 6개 감소했습니다.

이에 따라 표준점수 최고점은 사탐이 71∼73점, 과탐은 69∼71점 수준에서 형성돼 사탐 선택자가 다소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고 메가스터디는 분석했습니다.

남윤곤 메가스터디교육 입시전략연구소 소장은 "국어와 수학은 지난해보다 변별력이 확보됐고 사회탐구 역시 변별력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지난해보다 최상위권 학생의 정시 지원 전략 수립은 다소 수월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습니다.

남 소장은 다만 "수학 영역보다 국어 영역에서 변별력이 더 확보됐기 때문에 최상위권에서 국어 영역의 영향력이 커질 것으로 보이므로 정시모집에 대비하는 수험생들은 자기 성적을 면밀하게 분석해 지원 전략을 철저하게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