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관영매체 "일본에 실질적 반격 준비돼"…'제재·정부 교류 중단' 거론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

중국 정부와 관영매체가 다카이치 일본 총리의 '타이완 유사시 개입' 발언에 격렬한 반응을 쏟아내면서 연일 공세 수위를 높이고 있습니다.

관영 중국중앙TV(CCTV) 계열의 소셜미디어 계정 '위위안탄톈'은 어제(15일) 게시물에서 중국 정부가 최근 "모든 후과(나쁜 결과)는 일본이 져야 한다"와 "(중국이) 반드시 정면 공격을 가할 것"이라는 표현을 쓰고 있다며 "이런 표현들은 중국이 이미 실질적 반격(反制) 준비를 마쳤다는 신호를 발신한다"고 썼습니다.

이 매체는 대(對)일본 제재와 양국 정부 간 교류 중단을 중국의 대응 수단으로 꼽았습니다.

'위위안탄톈'은 "중국은 타이완 관련 문제에서 이미 충분한 반격 경험을 축적했으며, 외교부의 기존 제재 리스트에서 약 80%의 상황에 타이완 문제가 포함돼있고, 이 가운데는 일본 정객도 적지 않다"면서 "필요하다면 중국은 언제든 유사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매체는 또 '일본과의 경제·외교·군사 분야에서 정부 간 교류 중단'을 대응책으로 제시하면서 "중국은 과거 '모든 후과'를 언급할 때 실제로 일부 수단을 실시한 바 있다"며 "알아야 할 것은 중국이 일본 최대 무역 파트너이고 적지 않은 일본 상품이 중국 수입에 '고도로 의존'한다는 점"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매체는 특히 14일 오후 중국 외교부가 자국민에게 일본 방문 자제를 당부한 것을 두고는 "국면에 실질적 위협이 존재한다는 것이 당국에 의해 인정됐다는 의미"라며 "이것이 일본 정부의 잘못된 행동이 일본 사회에 만든 부정적 외부 효과가 구체적으로 드러난 것"이라고 했습니다.

아울러 '위위안탄톈'은 중국 외교부 직속 싱크탱크 중국국제문제연구원의 샹하오위 연구원을 인용해 중국 당국이 최근 동원하고 있는 '정면 공격'이라는 표현이 "단순한 외교적 수사일 뿐 아니라 명확한 군사적 의미를 갖고 있다"고 짚었습니다.

광고 영역

그러면서 자국의 랴오닝함·산둥함·푸젠함 등 항공모함 세 척과 이달 시험 항해에 들어간 경항모 쓰촨함, 둥펑 탄도미사일 등이 '정면 공격'의 의미를 일본에 가르쳐줄 것이라고 위협했습니다.

매체는 "요 며칠 일본에 불만을 표한 나라는 중국만이 아니고, 다카이치 취임 후 그 발언과 동향은 러시아·한국 등 주변 국가의 공개적인 비판과 경계를 받았다"며 "일본에 대한 중국의 이번 항의는 일본에 대한 엄정한 경고일 뿐만 아니라 국제 사회를 향한 질서 수호 행동"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다카이치 총리는 지난 7일 중의원(하원)에서 일본 현직 총리로는 처음으로 '타이완 유사시'는 일본이 집단 자위권(무력)을 행사할 수 있는 '존립 위기 사태'에 해당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의 발언에 격앙된 중국은 연일 고강도 비난을 쏟아내고 있으나, 다카이치 총리는 발언을 철회할 생각이 없다고 선을 그은 상태입니다.

중국 정부와 관영매체들이 쓰는 표현 역시 갈수록 험악해지고 있습니다.

중국 외교부는 13일 대변인 명의로 "타이완 문제에서 불장난을 해서는 안 된다. 불장난을 하는 자는 스스로 불에 타 죽을 것"이라고 경고한 뒤 늦은 밤에 가나스기 겐지 주중일본대사를 초치해 압박했습니다.

중국 국방부 대변인은 이튿날 "위험을 무릅쓴다면 머리가 깨지고 피를 흘릴 것"라고 했습니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나 중국군 기관지 해방군보도 잇따라 직설적 비난 논평을 실으며 힘을 보태는 중입니다.

중국은 '실력 행사'에도 나섰습니다.

중국 해경국은 오늘 해경 1307함정 편대가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열도를 순찰했다고 밝혔습니다.

중국은 영유권 분쟁 지역인 센카쿠열도 주변 순찰 소식을 수시로 공개하며 영토·영해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명분을 쌓아왔고, 일본이 자국의 이른바 '핵심 이익'을 침해하는 듯한 발언·행동을 할 때마다 해경선을 보내 무력 시위를 벌였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