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들으신 대로 법무부는 노만석 총장 대행에게 별도 지휘조차 하지 않았다는 입장이고, 오히려 노 대행이 반대 의사를 강하게 주장하지 않았다는 말까지 전해졌습니다. 검찰 내부의 사퇴 압박이 거센 상황에서, 노 대행은 오늘(11일) 휴가를 내고 자신의 거취에 대한 고심에 들어갔습니다.
이어서 전연남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노만석 검찰총장 대행은 휴가를 내고 오늘 출근하지 않았습니다.
대검 평검사와 일선 검사장들에 이어 총장의 바로 옆 참모들인 대검 검사장들이 어제 노 대행과 회의 과정에서 '구성원들이 납득하지 못하고 있으니 용퇴하라'고 요청한 것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입니다.
노 대행은 그동안의 경위를 내부에 설명했지만, 대검 검사장들까지 자신을 몰아붙이자 장고에 들어간 것으로 보입니다.
대검 내부에선 "노 대행이 강단 없이 처신하다 당한 것"이라며 "더는 버티기 힘든 상황인 것 같다"는 평가가 나오면서, 사퇴 수순에 돌입했단 관측이 나옵니다.
서울중앙지검은 당초 대장동 사건에 대한 항소 방침을 세웠지만, 항소 시한 마지막 날 노 대행 지시를 기점으로 검찰 내부에서 별다른 논의 없이 항소 포기를 결정했습니다.
수사팀은 이 과정에서 법무부 장차관의 압박이 있었다고 밝혔지만, 정작 법무부 고위 관계자는 "공식적인 사건 지휘가 아니라는 점까지 노 대행에게 명확히 전달했다"는 입장입니다.
이 주장대로라면 검찰이 스스로 항소를 포기했다는 셈인데 노 대행은 이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하지 않았습니다.
다만, 노 대행은 지난 9일 "정진우 서울지검장과 협의를 거쳐 숙고 끝에 내린 결정"이라고 밝혔고, 정 지검장이 "중앙지검의 의견을 설득했지만 관철시키지 못했다"고 응수하면서, 내부 갈등까지 노출되기도 했습니다.
결국, 노 대행이 법무부로부터 구체적으로 어떤 메시지를 들었는지, 내부 반발까지 무릅써가며 왜 항소 포기를 결정했는지 밝혀져야 이번 의혹에 대한 전모가 드러날 전망입니다.
(영상편집 : 박진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