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가 노화 늦춘다?…"다언어 사용, 노화 가속 막아준다"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 다언어 사용과 노년층 노화속도 지연 간 연관성 확인

두 개 이상의 언어를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다언어 사용'(Multilingualism)이 노년층에서 노화가 가속될 위험을 줄여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아일랜드 트리니티 칼리지 더블린 아구스틴 이바녜즈 교수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11일 과학 저널 네이처 노화(Nature Aging)에서 유럽 27개국 8만 6천여 명의 데이터를 분석, 다언어 사용과 가속 노화(accelerated ageing)의 위험 감소 간 연관성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한 언어만 사용하는 사람은 다언어 사용자보다 가속 노화를 겪을 확률이 약 두 배 높았다며 이는 인구 수준에서 건강한 노화 촉진을 위한 전략으로 다언어 사용을 장려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습니다.

노화는 인지 기능 저하와 신체적 기능 손상과 관련된 주요 글로벌 보건 문제로, 이를 보호할 수 있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입니다.

연구팀은 이전 연구에서는 다언어 사용이 인지 기능 유지에는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결과가 제시됐지만 표본 크기가 작거나 임상 집단이 한정적이었고, 노화를 간접적으로 측정한 경우가 많아 근거가 일관되지 않았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들은 이 연구에서 유럽 27개국 8만 6천149명(평균 연령 66.5세)의 설문 데이터를 분석, 실제 나이와 건강·생활 습관 기반으로 예측한 나이 사이의 차이를 뜻하는 생체행동적 연령 격차(biobehavioral age gap)를 측정, 단일언어 또는 다언어 사용이 노화의 가속이나 지연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했습니다.

예측 나이가 실제보다 많으면 생물학적 노화가 빠른 가속노화, 적으면 천천히 늙는 지연노화로 간주했습니다.

광고 영역

설문에는 긍정적 요인으로 기능적 능력과 교육, 인지 기능 등이 포함됐고, 부정적 요인으로는 심혈관 질환, 감각 손상 등이 포함됐습니다.

분석 결과 한 시점(단면분석)에서 다언어 사용자에게 가속노화가 일어날 위험은 단일 언어 사용자보다 약 54% 낮았으며, 시간이 흐르면서(종단분석) 가속노화가 생길 위험 역시 다언어 사용자가 30%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대로 이는 단일언어 사용자의 특정 시점 가속노화 위험이 다언어 사용자보다 약 2배, 일정 기간으로 볼 때도 43% 더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연구팀은 이는 여러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이 한 언어만 쓰는 사람보다 가속 노화를 겪을 위험이 약 절반 수준이라는 뜻이며 이 차이는 연령, 언어적·신체적·정치사회적 요인 등을 고려한 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유지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연구팀은 이 결과는 다언어 사용이 노화로부터 고령층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전 세계적 보건 전략에도 폭넓게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다언어 사용이 노화를 지연시키는 직접적 원인인지, 또는 사회적·인지적 활동성과 같은 다른 요인과 결합한 결과인지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Nature Aging, Jason Rothman et al.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