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억 로또' 6천 명 다녀갔다…그들만의 리그


동영상 표시하기

<앵커>

요즘 85㎡형 분양가가 25억 원을 넘는 서울 강남의 한 아파트 청약에 관심이 뜨겁습니다. 당첨만 되면 30억 원 정도의 시세 차익이 예상되기 때문인데요. 정부의 강력한 대출 규제로 이제 이런 청약 시장도 현금 부자들만의 세상이 됐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정준호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

<기자>

청약을 앞둔 내년 8월 입주 예정인 서울 반포동의 2천91세대 아파트 견본주택입니다.

사흘간 6천 명이 다녀갈 정도로 관심이 뜨겁습니다.

이 아파트의 분양가는 전용면적 84㎡형이 26억~27억 원입니다.

분양가상한제 적용 이래 최고 금액입니다.

주변 아파트값이 워낙 치솟은 상황이라 당첨만 되면 시세차익이 약 30억 원 정도로 예상됩니다.

'30억 로또 청약'이라는 말까지 나온 이유입니다.

광고 영역

[견본주택 방문객 : 되기만 하면 어떻게든 살아야 되겠죠. 59제곱미터형이 우리 식구들에겐 작기는 한데 경제적 보상으로 생각하고 잘 살아야 되겠죠.]

하지만 자금조달이 만만치 않습니다.

84㎡형의 경우 최소 약 25억 원의 현금이 필요합니다.

10·15 부동산 대책의 대출규제로 시가 25억 원 초과 주택은 최대 2억 원까지만 주택담보대출이 나오기 때문입니다.

현금 부자들만 청약이 가능한 것입니다.

이른바 '부모 찬스'를 쓸 수 있는 사람들만 유리한 것 아니냐는 비판까지 나옵니다.

실제 인터넷에서는 부모로부터 증여받는 것을 전제로 한 자금 조달 계획을 밝힌 글이 심심치 않게 보입니다.

[견본주택 방문객 : (당첨)되더라도 실수요자들은 현실적으로 그 많은 자금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얼마나 될 것이며 그런 게 좀 불편하죠.]

이런 선호지역이 아니더라도 최근 서울 아파트 평균 분양가격은 17억 원에 육박해 평범한 중산층 실수요자가 감당하기 버거운 수준까지 올라갔습니다.

[윤지해/부동산R114 수석연구원 : 가점이 만점 수준에 근접한다고 해도 분양가를 감당할 수 없다면 사실은 못 먹는 감인 거죠.]

실수요자들에게 공정한 기회를 부여하자는 청약 제도 취지가 최소한 서울에서는 무색해진 것입니다.

(영상취재 : 인필성, 영상편집 : 조무환, 디자인 : 강윤정)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