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훈 노동장관 "울산화력 추가 생존자 구조 못해 송구"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나흘째인 9일 오후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이 현장 브리핑에서 고개를 숙이고 있다.

중앙사고수습본부 공동 본부장인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은 오늘(9일) "울산화력발전소 붕괴 사고 발생 후 75시간이 지났음에도 추가 생존자를 구조하지 못해 가족과 국민께 사고 수습 책임자로서 송구스럽다"고 밝혔습니다.

김 장관은 오늘 오후 예정에 없던 브리핑을 예고한 뒤 약 1시간 뒤 울산화력발전소 후문에서 취재진 앞에 섰습니다.

그는 "사고 발생에는 복합적인 원인이 있었고, 이 때문에 구조 과정에서도 많은 어려움이 있다"면서 "특히 붕괴한 (보일러 타워) 5호기 좌우로 추가 붕괴 위험이 있는 4·6호기가 있어 대규모 장비 투입에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안전하고 신속한 구조를 위해 효과적인 방법을 찾고자 소방당국, 전문가들과 숙의를 거쳤고, 결국 위험 요소를 제거해가면서 구조작업을 병행할 수밖에 없어 4·6호기 해체를 결정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김 장관은 "발파, 해체, 구조가 어떻게 병행될지 전문가들과 논의하고 숙의하고 있으며, 특히 이 과정에서 추가 사고가 발생하지 않는 것에 방점을 두겠다"고 말했습니다.

구체적인 발파 방법에 대한 질의에 김 장관은 "기술적·구조적 진단 결과 4·6호기를 동시 해체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으로 판단하지만, 위험 요소가 있기 때문에 마지막까지 숙의할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또 발파 일정에 대해서는 "아직 특정하지 못했으며, 사전 안전 조치가 완료됐다고 판단하는 시점에 국민께 보고드리겠다"고 말했습니다.

광고 영역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