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영끌' 돌아왔나…서울 아파트 매수 4년 만에 최대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10·15대책 발표 전인 지난 9월 서울 아파트 10건 중 약 3.7건을 30대가 사들이며 30대 매수 비중이 4년 만에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6·27 대출 규제의 영향을 덜 받는 무주택 또는 생애최초 주택구입 수요층의 '영끌 매수'가 가세한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매입자연령대별 아파트 매매 거래현황 통계에 따르면 지난 9월에 신고된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량(6천796건)의 36.7%를 30대가 매수했습니다.

30대 매수 비중으로는 2021년 9월(38.85%) 이후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

반대로 지난해부터 월별 30%를 넘기던 40대의 매수 비중은 8월 26.8%에 이어 9월에도 27.4%를 기록하며 두 달 연속 30% 미만으로 떨어졌습니다.

6·27 대출 규제로 수도권의 대출 한도가 6억 원으로 제한되고 1주택자가 대출받아 다른 집을 산 경우 반년 내 기존 주택을 처분해야 하는 등 대출이 강화되면서, 생애최초나 신생아 특례대출 등 저리의 정책자금 지원을 받을 수 있는 30대의 매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진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대출 규제 이후에도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가 지속되면서 더 늦기 전에 서둘러 집을 사려는 30대 '패닉바잉(공황구매)' 또는 '영끌 수요'가 늘었다는 게 시장의 분석입니다.

구별로는 강서구가 48.0%로 가장 높았고, 관악구 46.1), 성동구 45.5%, 은평구 43.0%, 영등포구 42.8%, 서대문구 41.7%, 성북구 41.3%, 동대문구 41.0%, 구로구 40.3%, 중구 40.0% 등의 순으로 30대 비중이 컸습니다.

주로 직장과 가깝거나 상대적으로 아파트값이 낮으면서 10·15 대책 전까지 토지거래허가구역이 아니어서 전세를 낀 갭투자 매수도 가능한 지역들입니다.

이에 비해 고가 아파트가 몰려 있는 강남 3구와 용산구 등 기존 규제지역은 30대의 매수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았습니다.

광고 영역

10·15대책으로 규제지역과 토지거래허가구역이 서울 전역과 수도권 일부까지 광범위하게 지정되면서 정책 자금 활용이 가능한 30대의 매수 비중은 더 높아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토허구역 확대로 갭투자는 막혔지만, 규제 지역에서도 6억 원 한도 내에서 생애최초주택 구매자에게는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이 70%까지 유지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