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습니다.
이주배경 학생이 올해 처음 20만 명을 넘기는 등 학령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꾸준히 높아지고 있지만, 여전히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조국혁신당 강경숙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2023학년도 이주배경 고등학생 2만 1천여 명 가운데 자퇴한 사람은 모두 477명이었습니다.
2.22%의 자퇴율입니다.
자퇴율은 2020년 1.36%에서 2021년 1.93%, 2022년 1.99%로 꾸준히 오르다가 2023년 처음으로 2%대를 넘었습니다.
전체 고등학생 자퇴율은 2020년 1.06%, 2021년 1.52%, 2022년 1.87%, 2023년 2.00%로 이주 배경 학생의 자퇴율이 전국 고교생 평균보다 높습니다.
자퇴 이유를 보면 학교생활에 적응하지 못한다는 이유로 자퇴서를 낸 사람이, 2020년 77명, 2021·2022년 138명, 2023년 206명이었습니다.
이주배경 학생이 학교에 자리 잡지 못하는 요인 중 하나로는 대부분 한국어로 진행되는 수업을 따라가지 못한다는 점이 꼽힙니다.
교육부는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이주배경 학생 결과를 별도로 분석하진 않지만, 한국교육과정평가원(평가원) 등 교육계에서는 상당수의 이주배경 학생이 기초학력 미달에 해당하는 '수준 1'에 속할 것으로 추정합니다.
이들의 사교육 참여율 역시 비(非) 이주 배경 학생보다 현저히 낮은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학교생활과 학업에 부침을 겪는 데다 사교육 또한 받지 않다 보니 이주배경 학생들의 대학 진학률도 낮습니다.
실태조사에 따르면 이주배경 학생의 71.6%가 4년제 이상 대학 진학을 희망했으나 실제 고등교육기관 취학률은 61.9%에 불과했습니다.
강경숙 의원은 "이주배경 학생들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만큼, 단순한 언어 지원을 넘어 학습·정서·진로 전반을 아우르는 통합 지원이 필요하다"며 "공교육이 중심이 돼 학교 적응과 학업 지속을 돕는 체계적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