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담야담

[여담야담] 국감 마지막 날 '배치기' 충돌…"대미 장식"·"초등생 싸움"


동영상 표시하기

[편상욱의 뉴스브리핑]

인터뷰를 인용보도할 때는 프로그램명 'SBS <편상욱의 뉴스브리핑>'을 정확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저작권은 SBS에 있습니다.

■ 방송 : SBS <편상욱의 뉴스브리핑> 월~금 (14:00~16:00)

■ 진행 : 편상욱 앵커

■ 대담 : 김유정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 김종혁 전 국민의힘 최고위원

광고 영역

--------------------------------------------

● '배치기' 몸싸움 충돌

김유정 /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

"주진우 지난해에도 국감 참여…이해충돌 주장은 무리"

"국힘, 김현지 출석 요구해 놓고 나온다니 거부…자신 없는 듯"

김종혁 / 전 국민의힘 최고위원

"이기헌·송언석, 아이들끼리 싸우듯 싸워…중학생도 저렇게 안 해"

"민주, 국감 파행 유도 전략인 듯…무리한 주장·몸싸움으로 여론 관심 돌려"

▷ 편상욱 / 앵커 : <정치 여담야담> 오늘은 김유정 전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김종혁 전 국민의힘 최고위원과 함께하겠습니다. 두 분 어서 오세요. 오늘 이재명 정부의 첫 국정감사 마지막 날입니다. 국회 운영위원회에서는 대통령실을 대상으로 국감을 진행하고 있는데요. 여야 간의 충돌로 시작 1시간 만에  파행됐습니다. 그 과정에서 몸싸움까지 벌어졌습니다. 무슨 일이 있었는지 오전 국감 상황부터 보고 오겠습니다. // 이른바 배치기로 충돌한 송언석 원내대표와 이기헌 의원은 각각 기자회견을 열어서 자신이 피해자라고 주장했습니다. // 정회 후 퇴장하는 과정에서 송언석 원내대표하고 이기현 의원 간의 몸싸움이 벌어졌는데 누가 더 잘못했을까요. 

▶ 김유정 /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 : 이거를 시시비비를 꼭 가려야 될까 싶습니다. 그러니까 국감 초기에는 상임위에서 막말 논란들이 있어서 굉장히 저희를 부끄럽게 했었는데 사실 오늘이 국감 마지막 날이거든요. 그런데 또 이제는 그냥 말싸움을 넘어서서 저렇게 이제 물리적인 충돌까지 벌어지고 나니까 참 보는 제가 굉장히 민망합니다. 그리고 동물국회 동물국회 하던 시절을 지나서 국회 선진화법이 만들어지고 난 다음에는 적어도 저런 모습은 말로 싸우더라도 보기 어려워졌었는 데 오늘 국감 마지막 날 거의 대미를 장식한다. 그런 생각이 드는데요. 저는 뭐 굳이 누가 잘했다. 잘못했다 얘기하고 싶지도 않고요. 국민들 보시기에 매우 부적절한 일이 일어났다는 점에서 두 분 모두 사과해야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편상욱 / 앵커 : 김종혁 최고위원 보시기는 어땠어요. 누가 누구를 먼저 공격을 한 겁니까? 

▶ 김종혁 / 전 국민의힘 최고위원 : 그런데 잘한 사람이 어디 있어요. 시시비비 중에서 시시는 없고 비비만 있죠. 잘못한 것만 있는데 아니 뭐 가다 보면 부딪힐 수도 있죠. 그런데 보면 두 분이. 

▷ 편상욱 / 앵커 : 굉장히 일부러 부딪히는 게 보였죠. 

▶ 김종혁 / 전 국민의힘 최고위원 : 우리 초등학교 때 그 아이들끼리 싸울 때 있잖아요. 배 막 들이면서 네가 이겨 내가 이겨 하면서 저거 중학생만 돼도 저렇게 안 하거든요. 초등학교 때는 저런 거 기억해요. 어렸을 때 저랬던 기억이 나는데 국회에서 국회의원이라는 분들이 저기서 서로 배를 들이밀면서 저게 뭐 하는 짓인지를 잘 모르겠고 이번 국회에 말이죠. 어떤 분은 옥상으로 올라와 이렇게 얘기하신 분도 있고 무슨 쌍소리 하신 분들도 있고 진짜 참 할 말이 없습니다. 

▷ 편상욱 / 앵커 : 충돌 전에부터 일단 여야 기싸움이 치열했는데 주진우 의원한테는 윤석열 정부의 비서관으로 있었으니까 여기 있지 말고 피감기관의 증인석에 있어라 이런 얘기도 했더군요. 민주당에서. 

광고 영역

▶ 김종혁 / 전 국민의힘 최고위원 : 그건 말도 안 되는 소리죠. 왜냐하면 뭐 지난번에도 법사위에서 이해충돌 때문에 나경원 의원 간사 못 한다고 그랬지만 실제로 법사위에 수사를 받고 있는 사람들이 법사위원으로 들어온 경우가 민주당에서도 엄청 많이 있지 않습니까 그리고 김기표 의원 같은 경우도 대변인 이재명 대통령의 변호사를 했는데 들어와 앉아 있잖아요. 그러면 저렇게 도발을 한 것은 제가 보기에는 좀 너무 논리적으로는 맞지 않는 얘기인 것 같아요. 

▷ 편상욱 / 앵커 : 김유정 전 의원 보시기는 어떻습니까. 주진우 의원 얘기는 자기가 김현지 실장 얘기를 계속하니까 입을 막기 위해서 그런 거다라고 주장을 하는데요. 

▶ 김유정 /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 : 주진우 의원이 과도하게 김현희 실장 얘기를 하기는 했습니다. 그래서 속으로 좀 미웠을 수도 있겠죠. 눈엣가시 같은 느낌도 있었을 것 같고요. 그런데 이미 주진우 의원은 작년에도 한 차례 운영위에서 국감 위원으로서 치른 바가 있기 때문에 그 이제 민주당에서 다른 부분을 지적하는 건 몰라도 주진우 의원이 대통령실에 측근이었기 때문에 이해충돌이 있는 거 아니냐 이 부분은 조금 무리한 지적 같습니다. 왜냐하면 이미 작년에 이제 물론 작년 국감 때는 사실은 불법계엄 전이었기  때문에 또 상황이 좀 다르기는 합니다만 이제 이해 충돌 가지고 얘기하는 것은 조금 무리한 것 같고요. 다만 다른 부분에 있어서 어떤 태도나 좀 과도한 어떤 정치몰이나 이런 부분들을 조금 조목조목 짚어서 지적했다 라면 조금 더 낫지 않았을까. 그런 생각합니다. 

▶ 김종혁 / 전 국민의힘 최고위원 : 저게 보니까 민주당 전략인 것 같아요. 왜냐하면 김현지 씨 안 나왔잖아요.  그러니까 이게 굉장히 시끄러워지니까 어차피 시간을 좀 보내야 하는데 그러려면 파행으로 가야 한다. 그래서 뭔가 말이 안 되는 주장을 하거나  또 어떤 몸짓 충돌을 일으킨다든가 이런 식으로 해서 이게 결국은 논란이 벌어지고 정회가 되고 그래서 결국은 사람들이 아유 징그러워 그러고 이제 고개 돌려버리고 기자들도 저 뭐 하는 짓이야. 뭐 이렇게 만들어버리려는 전략이 있는 게 아닌가 그런 생각까지 들 정도예요.  

※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SBS 디지털뉴스편집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여담야담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