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월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 증가…K-배터리 점유율은 하락세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 전기차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사용량이 증가한 가운데 CATL, BYD 등 중국 업체가 높은 성장세를 보인 반면, 국내 배터리 3사의 점유율은 하락했습니다.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9월 중국을 제외한 세계 각국에 등록된 순수전기차(EV) ·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PHEV) · 하이브리드차(HEV)에 탑재된 배터리 총사용량은 약 338.9기가와트시(GWh)로 작년 동기 대비 29.7% 늘어났습니다.

같은 기간 전체 글로벌 시장에 등록된 전기차에 탑재된 배터리 총사용량은 약 811.7GWh로 34.7% 증가했습니다.

국내 배터리 3사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의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 합산 점유율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3% 포인트 하락한 16.9%를 기록했습니다.

같은 기간 중국을 제외한 시장에서는 5.4% 포인트 하락한 38.0%로 집계됐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중국을 제외한 시장에서 13.2% 늘어난 72.7GWh를 기록하며 중국 CATL에 이어 2위를 유지했습니다.

기아 EV3의 글로벌 판매 호조와 쉐보레 이쿼녹스, 블레이저, 실버라도 EV의 북미 판매 확대가 성장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광고 영역

3위인 SK온은 폭스바겐 ID.4, ID.7의 견조한 판매량에 힘입어 23.6% 증가한 34.3GWh를 기록했습니다.

삼성SDI는 같은 기간 4.5% 감소한 23.0GWh로 집계돼 6위에 올랐습니다.

주로 테슬라에 배터리를 공급하는 일본 파나소닉은 전년 동기 대비 31.2% 늘어난 33.0GWh로 4위를 유지했습니다.

중국 업체들은 저가형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앞세워 전체 글로벌 시장에서 탄탄한 성장세를 이어갔습니다.

CATL은 전체 글로벌 시장에서는 전년 동기 대비 31.5% 증가한 297.2GWh, 중국을 제외한 시장에서는 36.3% 늘어난 96.5GWh를 기록하며 1위 자리를 견고하게 유지했습니다.

BYD는 글로벌 시장에서는 45.6%의 성장세를 보이며 배터리 사용량 2위(145.0GWh)를 기록했습니다.

중국을 제외한 시장에서는 145.9%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며 5위(25.8GWh)를 지켰습니다.

특히 올해 1∼9월 유럽 내 BYD 배터리 사용량은 10.3GWh로 전년 동기 대비 246.2% 증가했습니다.

SNE리서치는 "한국 배터리 3사는 유럽, 미국시장 의존도가 높은 가운데 유럽은 중국의 공격적인 현지 진출과 저가 공세로 점유율이 하락하고 있고, 미국은 OBBBA(감세법) 이후 IRA(미국인플레이션감축법) 조기 일몰로 3분기 선구매가 발생했지만 10월 이후 하락 가능성이 큰 상황"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이어 "이에 프리미엄용 NCM(니켈코발트망간) 고에너지 제품 경쟁을 지속하면서 보급형 대응을 위한 LFP(리튬인산철), LMFP(리튬망간인산철) 양산 전환을 서두르며 중장기 경쟁력 확보에 나서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