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티칸시국 성베드로 대성당
성모 마리아가 세상을 구원한 예수를 도왔는지를 두고 수백 년간 계속된 기독교 내부 논쟁이 교황청의 새 교령으로 마침표를 찍게 됐습니다.
4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교황청 신앙교리부는 14억 명의 가톨릭 교인에 성모 마리아를 '공동 구세주'로 부르지 말아야 한다는 지침을 내렸다고 밝혔습니다.
예수가 세상을 '저주'로부터 구하는 데 성모 마리아가 도움을 주지는 않았고 예수만이 세상을 구원했다는 것입니다.
교황청은 "성모 마리아는 예수를 낳음으로써 모든 인류가 기다렸던 구원의 문을 연 것"이라며 '공동 구세주'가 아닌 신과 인류의 중재자로서 성모 마리아의 역할을 부각했습니다.
이번 지침은 교황 레오 14세의 승인을 받은 새 교령에 따른 것입니다.
가톨릭 교인들은 예수가 십자가에 못 박혀 인류를 구원했다고 믿습니다.
이때 성모 마리아가 세상을 구한 예수를 도왔는지 여부는 수백 년간 계속된 논쟁거리였습니다.
역대 교황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갈리기도 했습니다.
프란치스코 전 교황은 "성모 마리아는 그녀 자신을 위한 것이라면 아들로부터 아무것도 가져가려 하지 않았다"라며 '공동 구세주' 칭호를 강하게 반대했습니다.
보수적 성향이 강했던 베네딕토 전 교황도 마찬가지로 반대 입장을 취했습니다.
요한 바오로 2세 전 교황은 '공동 구세주' 칭호를 지지했습니다.
하지만 교황청 신앙교리부에서 회의적인 입장을 보이자 1990년대 중반 이후 공개 석상에서 '공동 구세주'라는 칭호를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한편 교황 레오 14세는 이날 로마 외곽의 거주지에서 기자들과 만나 영성체를 금지당한 미국 정부 시설의 이민자와 관련해 트럼프 정부에 '깊은 반성'을 촉구했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보도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