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지방의료원연합회가 30∼31일 경북 김천의료원에서 전국 지방의료원 원장들이 참석하는 '공공보건의료정책 방향과 지방의료원의 역할 강화 포럼'을 열었다.
전국 지방의료원들이 올해도 1천500억 원 이상의 적자가 예상되는 등 재정난과 인력난이 이어지고 있다며 정부 지원 예산 확대 등을 요구했습니다.
전국지방의료원연합회는 경북 김천의료원에서 전국 지방의료원 원장들이 참석하는 '공공보건의료정책 방향과 지방의료원의 역할 강화 포럼'을 열고 지방의료원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공동 입장문을 발표했습니다.
지방의료원장들은 입장문에서 "코로나19 방역체계 중추적 역할을 수행한 지방의료원들은 의료수익 급감, 의료인력 이탈, 임금체불 발생 등 설립 이래 가장 심각한 재정난과 인력난에 직면했다"고 호소했습니다.
이들은 "지방의료원의 어려움은 단순한 경영상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 필수의료 체계의 근간이 흔들리는 신호"라며 "지방의료원이 더 버티지 못한다면 지역 공공의료의 뿌리가 말라버리고 지역 소멸도 가속화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원장들은 지방의료원의 정상적 운영을 위해 "내년 예산안 심사에서 지방의료원 지원 예산을 대폭 증액해 달라"며 공공의료 수가 제도 도입과 공공의료발전기금 조성, 공공임상교수제 법제화, 지역거점 공공병원 파견 인력 인건비 예산 확대 등을 요구했습니다.
김영완 연합회장 겸 서산의료원장은 "지방의료원은 2023년 3천74억 원, 2024년 1천601억 원에 이어 올해도 1천500억 원 이상의 적자가 예상된다"며 국회와 정부의 집중적인 지원을 촉구했습니다.
(사진=전국지방의료원연합회 제공,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