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수소연료전지 신공장 첫삽…9천300억 투입해 2027년 준공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 이동석 현대차 국내생산담당 사장(오른쪽부터), 호세 무뇨스 현대차 대표이사 사장, 장재훈 현대차그룹 부회장, 김기현 국회의원, 김두겸 울산시장,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 박성민 국회의원, 윤종오 국회의원 등 관계자들이 30일 에서 수소연료전지를 활용한 수소 모빌리티 등 전시품에 대한 설명을 들은 후 손뼉 치고 있다.

현대자동차가 수소연료전지 및 수전해 생산 거점 구축에 본격적으로 나섰습니다.

현대차는 오늘(30일) 울산공장에서 수소연료전지 신공장 기공식을 열었습니다.

신공장은 울산공장 내 지상 3층, 연면적 9만 5천374㎡ 규모로 2027년 준공을 목표로, 현대차가 9천300억 원을 투자할 계획입니다.

신공장은 연료전지와 국내 첫 PEM, 고분자전해질막 수전해 생산의 주축이 될 예정입니다.

원료를 가공하는 '화학 공정'과 완성된 부품을 조립하는 공정을 통합해 연 3만기 규모 연료전지 생산 능력을 갖출 예정입니다.

'인류를 위한 수소'라는 의미를 담은 현대차그룹의 수소 브랜드 'HTWO'가 적용됩니다.

수소연료전지 공장이 들어서는 4만 2천975㎡의 부지는 과거 내연기관 변속기 공장이 있던 곳입니다.

광고 영역

현대차는 전기차 및 수소전기차 등 친환경차의 일시적 수요 정체에도 전기차 전용 공장에 이어 연료전지 신공장 신설을 추진함으로써 세계 최대 단일 완성차 공장인 울산공장의 미래 자동차 산업 핵심 기지 전환에 박차를 가한다고 밝혔습니다.

현대차는 수소연료전지 신공장을 최고 수준 생산 효율성과 안전성을 갖춘 미래형 혁신 제조 플랫폼으로 운영할 방침입니다.

새로운 수소연료전지 공장에서는 다양한 수소 모빌리티에 탑재 가능한 차세대 수소연료전지와 수전해기가 생산됩니다.

수소연료전지는 공기공급 시스템과 수소공급 시스템, 열관리 시스템을 수소연료전지 스택에 결합해 공기 중 산소와 수소탱크에서 공급된 수소의 전기화학반응을 통해 전기를 만드는 일종의 발전기입니다.

울산 신공장에서 생산될 차세대 수소연료전지는 출력과 내구성을 기존 대비 향상하는 동시에 원가 경쟁력을 확보함으로써 글로벌 연료전지 시장을 선도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차세대 수소연료전지는 승용·상용 차량 특성에 맞춰 이원화되며, 상용 트럭과 버스, 건설 장비, 선박, 농기계 등에도 적용 가능토록 설계해 각 사용처에 최적화된 성능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PEM 수전해기는 수소연료전지의 역반응을 활용해 물에서 고순도의 청정수소를 생산하는 장치로, 글로벌 넷제로 달성을 위한 핵심 요소로 꼽힙니다.

오프라인 본문 이미지 - SBS 뉴스
상공에서 찍은 현대차 울산공장

기공식에는 현대차그룹 장재훈 부회장과 현대차 호세 무뇨스 대표이사 사장, 이동석 국내생산담당 사장 등 임직원,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 김두겸 울산시장, 김기현·박성민·윤종오 국회의원 등이 참석했습니다.

경주 APEC 경제인 행사를 계기로 방한한 이바나 제멜코바 수소위원회 CEO를 비롯한 수소 애플리케이션·부품 기업 관계자들도 자리를 함께했습니다.

참석자들은 현대차가 국내 기술로 개발해 이번 행사장에서 처음 선보인 PEM 수전해기를 직접 확인했습니다.

(사진=현대자동차·기아, 현대차그룹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