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AI 노출 업종서 청년 고용 21만 명↓…시니어는 오히려 증가"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 챗GPT

최근 인공지능(AI)에 많이 노출된 업종에서 청년 고용 감소가 두드러졌다고 한국은행이 오늘(30일) 분석했습니다.

한은은 이날 발표한 보고서에서 "국내 노동시장에서 AI 도입 초기 주니어 고용은 줄고 시니어 고용은 늘어났다"고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대표적 생성형 AI 도구 챗GPT가 출시된 2022년 11월 이후 15∼29세 청년층의 고용 흐름을 국민연금 가입자 수를 통해 분석했습니다.

AI 노출도를 1∼4분위로 구분해 비교한 결과 분석 기간 청년 고용 감소는 주로 AI 노출이 잦은 분위(3∼4분위)의 업종에 집중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반면, 50대는 오히려 AI 노출이 높은 업종을 중심으로 고용이 증가해 대조를 보였습니다.

오프라인 본문 이미지 - SBS 뉴스

수량적으로 비교하면, 2022년 7월∼2025년 7월 청년층 일자리는 21만 1천 개 감소했는데, 이 중 20만 8천 개가 AI 노출도 3∼4분위 업종에 해당했습니다.

같은 기간 50대 일자리는 20만 9천 개 증가했고, 이 중 14만 6천 개가 AI 노출도 3∼4분위 업종이었습니다.

세부 업종별로는 챗GPT 출시 이후 컴퓨터 프로그래밍·시스템 통합 및 관리업의 청년 고용이 11.2% 줄었고, 출판업(-20.4%), 전문 서비스업(-8.8%), 정보 서비스업(-23.8%)에서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습니다.

연구팀은 연령대별 고용 영향 차이와 관련, "주니어는 AI로 대체하기 쉬운 정형화되고 교과서적인 지식 업무를, 시니어는 업무 맥락 이해, 대인 관계, 조직 관리 등 AI가 현재로서 대체하기 어려운 암묵적 지식과 사회적 기술이 필요한 업무를 주로 담당하기 때문"이라고 풀이했습니다.

이어 "실제로 낮은 연차일수록 AI 활용에 따른 업무시간 감소율이 높았다"며 "대체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라고 덧붙였습니다.

오프라인 본문 이미지 - SBS 뉴스

다만, AI 확산에 따른 임금 영향은 뚜렷하지 않았습니다.

단기적으로 임금을 조정하기 어려운 임금 경직성 때문으로 보인다고 연구팀은 평가했습니다.

연구팀은 "AI로 인한 생산성 향상이 중장기적으로 노동 수요 확대 요인으로 작용하면서 그 수혜가 청년층을 중심으로 나타날 가능성도 있다"고 여지를 뒀습니다.

그러면서 "스타트업 지원을 강화하는 등 청년층이 새로운 산업 기회를 모색할 수 있도록 돕는 다양한 정책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한국은행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