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한 90대 노부부가 의료적 존엄사를 선택해 한날한시 세상을 떠난 사연이 뒤늦게 알려졌습니다.
말기 심장질환을 앓던 아내가 의료적 존엄사를 신청하자 아내의 죽음을 받아들일 수 없었던 남편이 함께 떠나기로 결정한 것입니다.
현지시간 29일 외신 보도에 따르면 워싱턴주에 거주하던 에바 뉴먼(92)과 드루스 뉴먼(95) 부부는 지난 2021년 8월 13일 나란히 눈을 감았습니다.
두 사람의 딸 코린 그레고리 샤프(61)가 부모의 존엄사 과정 전반을 지켜보며 도왔습니다.
아내 에바는 2018년 대동맥판막협착증 진단을 받았는데 생존 가능성이 높지 않다는 이유로 의료진의 수술 권유를 거부했습니다.
삶의 마지막을 자연스럽게 맞이하고 싶었던 그는 이후 낙상 사고로 건강이 급격히 악화되자 존엄사를 결정했습니다.
뇌졸중 증세로 역시 건강이 좋지 않았던 남편 드루스는 아내의 결심을 듣고 "아내가 먼저 떠나면 아픈 몸으로 어떻게 살아야 하냐"라는 생각에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결국 그는 아내와 함께 조력 존엄사를 결심했고, 두 사람은 삶의 마지막 날을 직접 선택했습니다.
생일, 명절, 기념일 등 남은 가족에게 특별한 의미가 있는 날짜는 피하고 평범한 날인 8월 13일로 결정했습니다.
노부부는 존엄사 일주일 전부터 딸과 함께 좋아하는 음식을 만들어 먹고 옛 이야기를 나누며 좋은 시간을 보냈습니다.
딸 코린은 "부모님은 마지막 주를 평온하게 보내셨고 전날은 최후의 만찬 대신 최후의 행복한 시간을 가졌다"고 말했습니다.
존엄사 당일, 노부부는 의료 상담 인력이 지켜보는 가운데 약물을 복용한 뒤 와인 한 잔으로 마지막 건배를 나눴습니다.
잠시 뒤 나란히 잠든 두 사람은 한 시간도 지나지 않아 세상을 떠났습니다.
딸 코린은 "엄마는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았고 아빠는 엄마 없는 삶을 두려워했다"며 "그 두려움을 함께 이겨낸 건 두려움이 아니라 사랑의 완성이었다"고 전했습니다.
부모의 선택을 공개한 이유에 대해 그는 "우리는 죽음에 관해 이야기해야 한다"며 "가장 사랑하는 사람의 고통을 끝내줄 수 없다는 게 오히려 모순 아닌가. 떠날 때가 왔다면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미국은 워싱턴주를 포함해 오리건 등 10개 주와 워싱턴DC에서 의료적 존엄사가 합법입니다.
다만 본인의 의사 확인과 의학적 심사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우리나라는 2018년 '연명의료결정법' 시행으로 연명치료 중단은 허용되고 있지만 조력 존엄사는 금지하고 있습니다.
(기획 : 김성화 / 영상편집 : 김수영/ 디자인 : 임도희 / 사진출처 : 피플 캡처 / 제작 : 디지털뉴스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