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코 "새도약기금 수준으로 자체 채무조정 프로그램 운영할 것"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 23일 부산 남구 부산국제금융센터(BIFC)에서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의 주택금융공사, 자산관리공사, 신용보증기금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한국자산관리공사 정정훈 사장이 업무보고하고 있다.

정정훈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사장은 오늘(23일) "새도약기금 요건에 맞지 않는 보유 자산에는 새도약기금과 동일한 수준 이상으로 자체 채무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정 사장은 이날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캠코의 장기 연체 채권을 새도약기금에 떠넘기는 것 아니냐'는 김남근 더불어민주당 의원 질의에 이같이 답했습니다.

정부는 이달 7년 이상·5천만 원 이하 장기 연체채권을 매입하는 배드뱅크인 새도약기금을 출범했습니다.

캠코는 요건에 맞는 채권은 새도약기금으로 넘기고, 나머지는 자체적으로 처리한다는 방침입니다.

정 사장은 "캠코가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채권은 운영 프로그램에 맞으면 더 적극적으로 채권 소멸시효를 완성하거나 소각할 계획"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내년 상반기까지 1조 4천억 원을 차질 없이 정리하겠다고 답했습니다.

역대 배드뱅크처럼 기금이 중단될 수 있다는 우려에는 "기금에 모인 금액과 당초 추산한 금액과 차이는 있겠지만 프로그램 자체가 돈을 아예 못 쓰게 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했습니다.

광고 영역

대부업계의 새도약기금 참여 여부에 대해서도 "대부업 협회는 협약에 가입했다"며 "대부업계에서 최대한 많이 가입할 수 있도록 독려하고 인센티브도 논의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외환 위기 당시 캠코가 인수한 부실채권 2만 1,433건(1조 7,704억 원) 일부도 새도약기금에 포함하기로 했습니다.

이중 개인 채무는 1만 8,010건(3,662억 원)이고, 법인은 3,423건(1조 4,042억 원)입니다.

정 사장은 'IMF 때 인수한 장기연체채권도 새도약기금으로 조정될 수 있냐'는 박찬대 민주당 의원 질의에 "당연히 가능하다"며 "이달 중 처음으로 새도약기금 채권을 1차 매각할 예정"이라고 답했습니다.

채권 일괄매입 방식으로 유흥·도박 등 사행성 채무도 탕감된다는 지적에는 "매입 이후 대출 서류의 사업장 코드를 보고 사행성이거나 유흥주점의 사업자 대출은 환매할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개인 빚에선 가려내지 못한다"며 "증권사에 빌린 빚 등은 제외해 최대한 (가려내도록) 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2025 국정감사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