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진 인천 특수교사 고통호소 문자 연수자료에 인용…부적절"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 도성훈 인천시 교육감이 2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교육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발언하고 있다.

지난해 10월 숨진 인천 특수교사가 생전에 과밀학급을 맡아 격무로 인한 고통을 호소한 문자메시지 내용이 교원 연수에서 인용돼 부적절했다는 지적이 국정감사에서 나왔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은 어제(20일) 국회에서 열린 국감에서 "지난해 11월 7일 인천시교육청 파견 강사가 핵심 교원 연수를 진행하면서 강의 자료에 피해자인 특수교사가 고통을 호소하며 동료 교사들에게 보낸 문자메시지 내용을 고스란히 기재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그런데도 강사는 '관찰 일지는 반드시 작성해야 한다'고 강의했다"며 "이게 정서에 맞냐. (강사 행동이) 적절하다고 생각하냐"고 덧붙였습니다.

진 의원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24일 숨진 특수교사 A 씨는 '(1주일에 수업을) 29시간이나 하면서 관찰일지를 또 써야 하나. 업무 부담이 너무 과하다'는 문자 메시지를 동료 교사들에게 보냈습니다.

이에 도성훈 인천시교육감은 "안타깝다"며 "강사에 대한 부분은 확인해보겠다"고 말했습니다.

서울·경기·인천교육청이 함께 받은 국감에서는 인천이 다른 수도권에 비해 특수교육 기간제 교사 배치율이 낮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국민의힘 김용태 의원은 "고인이 생전에 학급 증설이라든지 교사 추가 배치를 요구했는데 왜 수용하지 않았냐"며 "인천시교육청은 지난해 특수교육 기간제 교사로 210명을 배정받고도 63.3%(133명)만 배치했다"고 질타했습니다.

광고 영역

반면 경기도교육청과 서울시교육청의 배치율은 각각 100%(1천327명)와 87%(229명)로 집계됐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