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즈니코리아, 삼성서울병원 소아병동에 환아 친화적 공간 마련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월트디즈니 컴퍼니 코리아(이하 디즈니코리아)가 난치병 아동 소원 성취 전문 기관 메이크어위시 코리아(Make-A-Wish Korea)와 함께 삼성서울병원 소아병동에 디즈니·픽사·마블 캐릭터 아트워크를 설치해 환아를 위한 친화적 환경을 마련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병동을 찾는 아이들이 보다 편안하고 친근한 환경에서 진료와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해 심리적 안정을 느낄 수 있도록 조성됐다.

이번 프로젝트는 월트디즈니 컴퍼니(이하 디즈니)가 전 세계적으로 전개하고 있는 '글로벌 어린이병원 이니셔티브(Children's Hospital Initiative)'의 일환으로 진행되었으며, 디즈니코리아가 국내 소아병동에 디즈니 인기 캐릭터의 아트워크를 설치해 환아 친화적 공간을 조성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먼저, 7층 소아병동 입구에는 '기쁨이', '슬픔이', '버럭이', '소심이', '까칠이' 등 <인사이드 아웃>의 주요 캐릭터 아트워크가 설치됐다. 서(西) 병동은 복도와 관찰실 벽면에 '미키와 친구들'을 비롯해, <토이 스토리>와 <몬스터 주식회사>에 등장한 캐릭터들의 아트워크로 밝은 분위기를 연출했다.

동(東) 병동은 <월-E>, <릴로&스티치>, <빅 히어로>, <스파이더맨: 뉴 유니버스> 속 캐릭터의 아트워크가 설치되어, 아이들이 보다 편안하고 안정된 분위기 속에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꾸며졌다.

또한 휴게실 창문에는 디즈니의 인기 캐릭터 '곰돌이 푸'와 그 친구들인 '피글렛', '이요르', '티거', <주토피아>의 주인공 '닉'과 '주디', <밤비>에 등장하는 캐릭터 아트워크가 부착되어 산뜻한 활기를 더했으며, TV를 함께 설치해 환아와 가족들이 디즈니 콘텐츠를 시청하며 심리적 안정을 얻고 상상을 펼칠 수 있는 공간으로 마련했다.

지난 13일에는 이곳 휴게실에서 위시키드 문주하·주담 형제의 소원 성취 행사가 열렸다. 오랜 치료 여정을 용기 있게 이어온 두 형제의 특별한 순간을 맞아 병동의 다른 아이들과 가족들도 함께 웃음과 응원의 시간을 나누며 따뜻한 감동이 이어졌다. 이날 현장에서는 마술 공연과 선물 증정이 이어졌고, '미키 마우스'와 '미니 마우스'의 깜짝 방문이 더해져 아이들과 가족들에게 잊지 못할 하루를 선사했다.

오프라인 본문 이미지 - SBS 뉴스

김소연 디즈니코리아 대표는 "디즈니의 글로벌 어린이병원 이니셔티브에 맞춰 진행된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병원에서 긴 시간 치료를 받아야 하는 아이들과 그 가족들에게 희망과 위로를 전할 수 있어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디즈니 스토리텔링의 힘을 바탕으로, 환아와 가족들에게 긍정적인 경험을 선사하는 활동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송영대 메이크어위시 코리아 사무총장은 "이번 프로젝트는 난치병 환아들이 가장 오래 머무는 곳인 병원을 치유와 위로의 공간으로 바꾸고, 꿈은 이뤄진다는 경험을 선물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디즈니와의 오랜 글로벌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한국에서도 아이들이 더 큰 꿈을 꾸고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안강모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센터장은 "디즈니코리아와 메이크어위시 코리아의 협력으로 아이들이 병원 생활 속에서도 위로와 힘을 얻을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도 환아들의 치료 환경 개선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디즈니는 글로벌 어린이병원 이니셔티브를 통해 1억 달러(약 1,400억 원) 규모로 소아 환자 치료 환경 개선 프로그램을 추진, 전 세계 약 1,600개 병원 및 의료 기관을 지원하며 아이들이 치료 과정 속에서도 희망과 위로를 경험할 수 있도록 힘쓰고 있다. 또한 메이크어위시와 1980년부터 45년간 파트너십을 이어오며 전 세계 중증 환아 17만 명 이상에게 소원을 선물해 왔다.

디즈니코리아 역시 어린이 병원 환경 개선, 소원 성취 프로그램, 기금·물품 후원, 임직원 봉사활동 등 메이크어위시 코리아와 협력해 난치병 아동을 꾸준히 돕고 있다. 이외에도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제이에이코리아 등 국내 NGO 파트너들과 협력해 소외계층 아동과 청소년을 위한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을 전개하고 있다.

(SBS연예뉴스 김지혜 기자)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