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관세 유지 시 현대차그룹 비용 8.4조…15%로 인하하면 5.3조"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한국의 대미 자동차 수출 관세율이 25%로 유지될 경우 현대차그룹의 관세 비용이 연간 8조 원을 넘길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내년에는 미국 자동차 시장이 전반적으로 부진할 수 있다는 가능성도 있어 조속한 관세율 인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오늘(15일) 나이스신용평가의 자동차 산업점검에 따르면 대미 자동차 수출 관세율이 한국이 25%, 유럽연합(EU)과 일본은 15%로 적용될 경우 현대차그룹의 관세 비용은 8조 4천억 원으로 추산됐습니다.

이는 글로벌 완성차업체(OEM) 톱 4로 함께 꼽히는 도요타(6조 2천억 원), GM(7조 원), 폭스바겐(4조 6천억 원)을 모두 웃도는 수준입니다.

이에 따라 현대차그룹의 연간 영업이익률은 기존 9.7%에서 6.3%로 하락할 것이라고 보고서는 전망했습니다.

영업이익률 하락 폭 역시 도요타(1.6%포인트·9.7→8.1%), GM(3.0%포인트·8.0→5.0%), 폭스바겐(1.2%포인트·6.0→4.8%)보다 큰 수준입니다.

GM은 관세 비용과 영업이익률 하락 폭 모두에서 현대차그룹 다음을 차지했는데 대미 수출기지 역할을 하는 한국GM의 영향으로 보입니다.

한국GM은 지난해 약 42만 대를 미국에 수출했습니다.

한국 자동차도 일본, EU처럼 대미 관세율 15%를 적용받게 된다면 상황은 달라집니다.

현대차그룹의 관세 비용은 5조 3천억 원으로 줄어들고 영업이익률은 7.5%를 기록할 전망입니다.

광고 영역

만약 한국이 지난 7월 미국과 합의했던 관세 인하 방안이 무산된다면 현대차그룹이 부담하는 비용은 3조 1천억 원 늘어나는 셈입니다.

GM은 한국의 관세율 인하 시 비용이 5조 1천억 원으로 줄어들고 영업이익률은 5.8%를 기록할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보고서는 "현대차그룹은 우수한 수익성과 재무적 융통성을 바탕으로 관세 부담을 일정 수준 대응하는 것은 가능할 전망이지만, 주요 경쟁사가 상대적으로 낮은 관세율을 기반으로 가격 인하 전략을 적극적으로 전개할 경우 미국 내 경쟁 구도가 변동될 위험이 상존한다"고 우려했습니다.

내년에는 미국 자동차 시장이 상대적으로 침체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관세율 인하가 더 긴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올해는 관세로 인한 가격 인상 우려로 자동차 수요가 일시적으로 촉진됐으나 향후 이러한 경향이 줄어들면 전체 판매 실적이 감소할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보고서는 "주요 시장의 판매실적 저하로 인센티브 지급액이 현 수준 대비 확대될 경우 자동차 회사들의 추가적인 수익성 하락은 불가피하다"고 전망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관세 전쟁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