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리포트

[D리포트] "이게 얼마 만" 삼성전자 '깜짝' 실적…"성과 따라 주식 보상" 파격, 왜?


동영상 표시하기

3분기에 분기 기준 사상 최대 규모인 86조 원의 매출을 올린 삼성전자.

이른바 '어닝 서프라이즈'를 발표한 14일, 직원들에겐 PSU, 즉 성과 연동 주식 보상 제도를 도입하겠다고 알렸습니다.

회사 주가가 올라가는 만큼 직원들에 대한 보상도 커진다, 앞으로 3년간 주가 상승폭에 따라 보상 규모가 달라지는 제도입니다.

삼성전자 내에서 지금 사원~대리급인 CL 1~2 직원들에게는 각각 200주, 과장에서 부장급인 CL 3~4들에게는 300주씩 주기로 약정하고, 2028년부터 3년간 분할 지급하겠다는 겁니다.

10월 15일과 2028년 10월 13일을 비교해서 주가가 3년간 20%까지 오르지 못하면, 약정한 주식을 주지 않습니다.

지금보다 20에서 40%까지 주가가 오르면 약정한 주식 수의 절반, 40에서 60%가 오르면 약정한 주식을 모두 줍니다.

만약에 3년 뒤에 지금보다 주가가 2배 이상 오르면 약정한 주식 수의 2배, 즉, 대리는 400주, 부장은 600주까지도 받게 됩니다.

10월 14일 기준으로 삼성전자가 상정한 기준주가는 최근 거래량 가중평균 가격으로 환산했을 때 8만 4천 원 수준입니다.

3년 뒤 2028년 10월 중순에 이 기준주가가 16만 8천 원을 넘으면, 부장들은 1억 원이 넘는 규모의 주식을 받아가게 된다는 겁니다.

이 같은 성과 연동 주식 보장 제도는 기존에 삼성전자 직원들이 받아온 OPI, 즉 초과이익 성과급과는 별도로 추가됩니다.

광고 영역

삼성전자는 OPI에 대해서도 내년부터 직원들이 임원들처럼 일정 범위 안에서 OPI의 일부를 주식으로 받아갈 수 있게 한다는 계획입니다.

성과 연동 주식 보상은 미국의 테크 기업들이 많이 도입하고 있습니다.

직원들이 회사의 성장을 개인의 이익과 동일시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한다는 전략입니다.

앞서 SK하이닉스도 올해 영업이익의 10%를 성과급으로 지급하기로 결정해, 임직원들이 평균 1억 원이 훌쩍 넘는 성과급을 받아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AI 전환기에 'AI 메모리'로 불리는 고부가가치 칩인 HBM 뿐 아니라 일반 D램 반도체의 수요까지 크게 늘면서, 우리 반도체 기업들의 경기가 이른바 '슈퍼사이클'에 들어섰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

앞으로 몇 년간 AI 반도체 공급망에서 기업들의 기술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걸로 예상되는 가운데, 핵심 인재를 확보하고 유지하기 위한 반도체 기업들의 보상 전략도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취재 : 권애리, 영상편집 : 김종태, 제작 : 디지털뉴스편집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D리포트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