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현지 시간 12일 이스라엘·이집트 방문길에 오르는 전용기에서 기자들과 만나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한껏 치켜세우며, 중국과 관계가 좋다고 강조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나는 중국과의 관계가 괜찮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나는 시 주석과 훌륭한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그는 강인한 사람입니다. 그는 아주 똑똑한 사람입니다. 시 주석은 그의 나라에 위대한 지도자입니다. 그는 위대한 지도자이고 나는 그와 좋은 관계를 갖고 있습니다.]
11월 1일부터 중국에 100%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계획을 여전히 갖고 있느냐는 질문에는,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현지시간 12일, 전용기에서) : 지금으로선 그렇습니다. 어떻게 될지 지켜 봅시다. 11월 1일이지요? 그건 아주 먼 훗날입니다. 저에겐 영원처럼 느껴집니다. 누군가에겐 금방 다가 올 날이겠지만 저에게 11월 1일은 먼 미래처럼 느껴집니다.]
11월 1일까지 협상이 충분히 가능하다는 점을 시사했습니다.
또 지난 10일에는 이달 말 한국에서 열리는 APEC회의에서 "시 주석과 만날 이유가 없다"고 잘라 말했지만, 이에 대해서도 "아마도 회담을 할 수도 있을 것 같다"고 입장을 선회했습니다.
소셜미디어를 통해서도 "매우 존경받는 시 주석이 잠시 안 좋은 순간을 겪었을 뿐"이라며 "그는 자기 나라가 불황을 겪는 것을 원하지 않고, 나 역시 마찬가지"라고 밝혔습니다.
미중 관세 전쟁 부활 조짐으로 미 증시가 급락해 비스포크투자그룹 추산 하루 새 시총 2조 달러가 증발되는 등 시장이 급격히 출렁이자 협상 의지를 보인 것으로 풀이됩니다.
일단 강경책부터 내놨다가 상대가 반발하면 꼬리를 내리는 모습이 반복되는 '타코(Trump Always Chickens Out)'가 재현되는 거 아니냐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J.D 밴스 미국 부통령은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미국은 중국보다 훨씬 더 많은 카드를 갖고 있다"고 밝히는 등 중국의 정책을 바꿔야 한다고 압박하기도 했습니다.
같은 날 중국 상무부 대변인도 희토류 수출 통제가 적법하고 정당한 조치라고 주장하면서 "우리는 싸움을 바라지 않지만 그렇다고 두려워하지도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취재 : 김민정, 영상편집 : 소지혜, 제작 : 디지털뉴스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