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달째 미뤄진 송환…프놈펜 '특별여행주의보'


동영상 표시하기

<앵커>

캄보디아 현지 범죄조직에 의해 살해당한 한국인 대학생 시신이 2달째 돌아오지 못하고 있습니다. 고액 알바 등을 미끼로 캄보디아로 유인돼 납치, 감금된 피해가 지난해에만 2백 건 넘게 발생했고, 수도 프놈펜에는 특별여행주의보가 내려졌습니다.

보도에 박현석 기자입니다.

<기자>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 외곽.

높은 담벼락에 둘러싸인 카지노 건물이 보입니다.

현지 범죄조직 근거지인데, 한국인 피해자들에게는 '감옥'으로 불립니다.

고액 알바 등을 미끼로 유인한 뒤 감금·고문해 보이스피싱 같은 범죄에 가담시키는 것입니다.

[캄보디아 내 감금·고문 피해자 : (발톱을) 한 번에 이렇게 드는 게 아니라 들었다 놨다, 들었다 놨다 이러거든요. 드라이버 같은 걸로. 그리고 여기 담뱃불로….]

경북 예천에 사는 20대 대학생 A 씨도 지난 7월 국내 브로커 소개로 캄보디아로 향했습니다.

광고 영역

'현지에 가면 은행 통장을 비싸게 팔 수 있다'는 제안을 수락한 것입니다.

하지만 A 씨 명의 통장에 입금된 범죄조직 수익금 5천만 원을 한국에 있던 브로커가 빼돌리면서 A 씨는 감금당한 채 고문을 받았고 지난 8월 깜폿주 보코르 산악지대 인근에서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캄보디아 정부와의 협조가 원활히 이뤄지지 않은 탓에 사망 후 2달이 지났지만 시신은 고국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있습니다.

'취업시켜주겠다'거나 '큰돈을 벌 수 있다'는 말에 속아 캄보디아로 건너가 납치나 감금 피해를 당한 우리 국민 피해건수가 최근 가파르게 늘고 있습니다.

2021년까지 한 자릿수에서 2022년 두 자릿수로 올랐고, 지난해에는 무려 221건에 달했습니다.

2021년 4건에 불과하던 신고건수는 올해 7월까지 252건이 접수됐습니다.

[캄보디아 내 감금 피해자 : '출국 비용이나 여권 비용을 마련해 주겠다' 그러면서 돈을 보내줘요. 막상 가보니까 감금당해 있고 돈도 못 받고….]

경찰은 최근 잇따르는 캄보디아 범죄단지의 각종 범행 단서 추적에 나선 가운데, 외교부는 어제(10일) 주한 캄보디아 대사를 초치해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프놈펜에 특별여행주의보를 발령했습니다.

(영상편집 : 이승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