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이번 국정자원 화재뿐 아니라, 최근 화재 현장에서 리튬이온 배터리가 자주 발견되고 있죠. 서울시와 소방 당국이 실내에서 리튬이온 배터리에 열을 가해 불이 나게끔 유도해 봤더니, 13분 만에 폭발하며 불길이 급속하게 번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김태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지난해 23명의 목숨을 앗아간 아리셀 공장 화재 당시 리튬이온 배터리가 폭발하면서 불꽃과 검은 연기가 공장을 가득 채우는 데 42초밖에 걸리지 않았습니다.
지난 8월 서울 마포의 한 아파트에선 충전 중인 전동스쿠터용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불이 나 일가족 2명이 숨지고 16명이 다쳤습니다.
두 사고 모두 불길이 급속히 번져 대피가 어려워지면서 큰 인명피해로 이어졌습니다.
서울시와 서울소방재난본부가 리튬이온 배터리의 위험성을 확인하기 위해 재개발 예정인 아파트 내부에서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전동스쿠터 등에 이용되는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불이 나는 과정을 시연할 것입니다.
방 안에 리튬이온 배터리를 설치하고 발열 패드로 열을 가하자 8분 뒤쯤 희뿌연 연기가 나오기 시작합니다.
다시 5분이 지나자 검은 연기와 함께 불꽃이 튀면서 폭발합니다.
굉음과 함께 순식간에 방 안을 뒤덮은 불길은 건물 밖으로도 번졌고, 현관의 온도는 1천 도까지 올라갔습니다.
[진용기/서울 소방재난본부 재난조사분석팀 화재조사관 : 일단은 발화가 시작되면 가연성 가스를 다량으로 분출합니다. 그래서 그 스파크가 튀게 되면 그 가스에 의해서 화재가 확산하기 때문에….]
서울에서 지난 2년간 리튬이온 배터리 탓에 발생한 화재는 346건에 달합니다.
또 지난 4년간 발생한 리튬이온 배터리 관련 화재 가운데 70%가 전동 킥보드, 16%는 전기 자전거에서 발생했습니다.
소방 당국은 리튬이온 배터리는 가급적 실내에서 충전하지 말고, 충전하더라도 대피 통로인 현관 근처는 반드시 피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영상취재 : 김흥기, 영상편집 : 유미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