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동 전체 조감도
서울 양천구 목동아파트 재건축의 마지막 퍼즐인 목동 1·2·3단지 정비계획이 확정되며 목동 14개 단지 재건축사업이 본궤도에 올랐습니다.
정비가 완료되면 목동 일대는 최고 49층 4만 7천여 세대 '미니 신도시'로 탈바꿈합니다.
서울시는 전날 열린 제10차 도시계획위원회 신속통합기획 수권분과위원회에서 양천구 '목동1·2·3단지아파트 재건축사업 정비구역 지정 및 정비계획 결정·경관심의(안)'을 수정가결했다고 오늘(2일) 밝혔습니다.
계획에 따라 목동 1·2·3단지에는 최고 49층 1만 206세대(공공주택 1천207세대 포함) 공동주택이 조성됩니다.
3개 단지 모두 용적률 300%, 높이 180m가 적용됐습니다.
먼저 목동1단지는 3천500세대(공공주택 413세대 포함)가 조성되며 부대복리시설은 재건축됩니다.
반경 500m 내 9호선 신목동역과 용왕산근린공원, 월촌초등학교가 자리한 우수한 입지에 약 1만 500㎡ 규모 근린공원을 새롭게 조성할 계획입니다.
목동2단지에는 공동주택 3천389세대(공공주택 396세대 포함)가 들어섭니다.
용왕산근린공원과 파리공원 등 풍부한 녹지를 살려 약 1만 250㎡ 규모의 근린공원을 만들고, 출산·양육 친화 공공지원시설 등을 마련해 생활밀착형 커뮤니티 거점을 강화합니다.
목동3단지는 공동주택 3천317세대(공공주택 398세대 포함)로 재구성됩니다.
이들 1∼3단지를 마지막으로 목동 14개 단지 재건축 사업이 모두 도계위 심의를 통과하며 목동 재건축사업은 본궤도에 올랐습니다.
목동 일대 재건축 정비계획은 차량 중심·폐쇄형 단지구조에서 벗어나 단지 내부 보행축을 외부 가로로 연결하는 '열린 단지'로 전환하는 데 방점을 찍었다고 시는 강조했습니다.
주변 안양천과 파리공원 등 지역 녹지축을 잇는 공공보행통로를 계획해 '5분 녹지 접근'을 실현하고, 자전거 이용이 많은 지역 특성을 반영해 통로와 도로변 곳곳에 자전거도로와 주차공간을 배치하기로 했습니다.
경관 측면에서는 저층(7층 이하), 중저층(15층 이하), 고층이 단계적으로 전개되는 스카이라인을 설정해 원경·근경에 조화를 꾀했습니다.
가로변에는 연도형 저층주거(7층)를 배치해 위압감을 줄이고, 저층부에 근린생활시설 권장 구간을 설정해 가로 활성화와 생활편의 향상을 도모합니다.
중심가로 주변은 보행친화형 상업가로로 유도해 지역 커뮤니티의 활력을 끌어올릴 계획입니다.
또 공공성 강화를 위해 단지 내·외부를 아우르는 기반·공공시설 13곳(연면적 총 8만 165㎡)을 확충하고, 데이케어센터, 공공청사, 어린이집 등 돌봄·행정 인프라도 보강하기로 했습니다.
도로는 1.5∼3m 이상 확장해 차량 흐름을 개선하고 주차난 해소를 위해 공용주차장 2곳을 계획했습니다.
사업 추진 속도 또한 신속통합기획 적용으로 대폭 향상됐습니다.
2022년 10월 목동6단지 신속통합기획 최초 선정 이후 모든 단지에 신통기획(자문사업)을 적용해 통상 5년이 걸리는 정비구역 지정을 14개 단지 평균 1년 9개월 만에 마무리했습니다.
14개 단지에는 현재 2만 6천629 가구가 거주 중이며 재건축 시 1.8배 규모인 4만 7천438 가구 대규모 주택공급이 가능합니다.
증가분 2만 809 가구 중 공공주택이 6천104세대에 달하며, 신혼부부 장기전세주택 '미리내집' 3천52세대도 포함됩니다.
(사진=서울시 제공,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