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영 "북한, 미 타격 가능 3대국가…냉정하게 인정해야"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29일(현지시간) 독일 베를린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현지시간 29일 "북한은 미국 본토를 타격할 수 있는 3대 국가의 하나가 돼버렸다"며 "냉정하게 인정할 건 인정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독일을 방문 중인 정 장관은 이날 베를린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북한이 스스로 전략국가라고 말하는데 전략적 위치가 달라졌다.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이 열린) 7년 전 위치와는 다르다. 일단 그 현실에서부터 출발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정 장관은 2019년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2차 북미 정상회담 때만 해도 "북한이 미국에 매달리는 입장이었다"고 말했습니다.

또 당시 회담이 결렬된 직후 '미국이 천재일우의 기회를 놓쳤다'는 리용호 당시 북한 외무상 발언을 언급하며 "그 말이 불행하게도 맞았다.

스몰딜이 성사됐더라면 핵문제 전개 과정은 많이 달랐을 것" 이라고 했습니다.

북미 정상회담 가능성에 대해서는 "노동당 창건 80년 메시지의 거의 절반 가까이가 대미, 대남 메시지"라며 "그걸로 미뤄보면 북미 양쪽 지도자 모두 지금 서로 만나고 싶다는 얘기를 한 것"이라고 짚었습니다.

정 장관은 그러나 "북미관계를 통해 안보 대 안보를 교환한다면 미국은 지원하거나 돈을 낼 생각이 전혀 없지 않나"라며 "(개혁개방을 추구한) 베트남의 길을 가고 싶다는 김정은 위원장의 말이 진정이라면 남북협력밖에는 길이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광고 영역

또 "인민의 허리띠를 더 이상 졸라매지 않겠다는 전략적 지위에는 올라섰지만 인민 생활향상까지는 못 이뤘기 때문에 대남 수요도 있다고 생각한다"며 "그런 점에서 접점을 만드는 게 평화 공존"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정 장관은 "민주정부가 들어서면 공든 탑을 쌓기 위해 땀 흘리며 애쓰는데 보수정권만 들어섰다 하면 허문다"고 비난했습니다.

그러면서 서독 마지막 총리이자 통일 독일 첫 총리를 지낸 중도보수 기독민주당(CDU) 소속 헬무트 콜은 이전 정부의 동방정책을 비판하면서도 교류협력은 중단하지 않았다고 강조했습니다.

정 장관은 2025 국제한반도포럼(GKF)과 독일 통일기념일 행사 등에 참석하기 위해 28일부터 내달 4일까지 5박 7일 일정으로 독일과 벨기에를 방문 중입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