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정부 전산망이 마비된 지 닷새째를 맞아 정부 24와 우체국 서비스를 비롯해 81개 업무 시스템이 우선 복구됐습니다. 하지만 복구율은 12%를 조금 넘는 수준입니다. 핵심 시스템을 포함해 완전한 복구까지는 적어도 한 달 이상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최승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행정안전부는 국정자원관리원 화재로 운영이 중단된 국가 정보시스템 647개 중 81개를 복구했다고 밝혔습니다.
전산망 마비 이후 복구율은 12%를 조금 넘는 수준입니다.
정부는 정부24과 나라장터, 주민등록시스템, 우체국금융을 비롯해 일상적으로 많이 쓰는 서비스를 우선 복구했다고 밝혔습니다.
[김민재/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차장 : 추석 연휴를 앞두고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했던 우체국 우편, 금융서비스가 우선적으로 복구된 바 있습니다.]
복구된 시스템은 화재로 직접적인 피해를 입지 않은 551개 정부 업무 정보 시스템에 국한됐습니다.
정부는 불이 나 손상된 나머지 96개 정보 시스템을 국정자원 대구 센터로 이전해 가동하는데 최소 4주 이상의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김민재/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차장 : 정보자원 준비에 2주, 시스템 구축에 2주 정도 소요 될 것으로 예상되나, 최대한으로 일정을 당기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화재 피해로 장기간 이용이 불가한 96개 업무 정보 시스템 목록도 처음 공개됐습니다.
이 목록엔 국민신문고와 국가법령정보센터 사회복지시설정보, 국민재난안전포털, e하늘장사정보시스템 등이 포함됐습니다.
정부는 오프라인 창구와 대체 사이트 등을 제공해 불편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입니다.
손상된 96개 시스템 공개가 늦어진 건 이를 관리하는 정보 시스템도 화재로 손상돼 피해를 파악하는 데 시간이 걸렸다고 설명했습니다.
정부는 또 배터리 운반에 투입된 인원은 모두 8명이며, 자격을 갖춘 전문기술자가 배터리를 옮겼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일부 배터리가 10년이라는 사용 권장 기한을 넘어 교체를 권고받았지만 1년 이상 더 쓸 수 있다고 판단했었다고 해명했습니다.
하지만, 이번 사태를 계기로 앞으로는 배터리 사용 권장 기한을 지키겠다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 최호준·배문산·김한결, 영상편집 : 김종태, 디자인 : 손승필·이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