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배드민턴연맹 월드투어 슈퍼 500 코리아오픈 남자 복식에서 우승을 차지한 김원호와 서승재가 기뻐하고 있다.
배드민턴 남자 복식 세계 랭킹 1위 서승재와 김원호가 안방 무대인 코리아오픈을 제패하며 올해 여덟 번째 국제 대회 우승을 자축했습니다.
둘은 오늘(28일) 경기도 수원체육관에서 열린 세계배드민턴연맹(BWF) 월드투어 슈퍼 500 코리아오픈 남자 복식 결승전에서 인도네시아의 파자르 알피안-무하마드 쇼히불 피크리 조를 두 번의 듀스 접전 끝에 2대 0으로 물리쳤습니다.
1게임 초반 김원호와 서승재는 리드를 내주고, 매섭게 따라붙는 추격전을 반복했습니다.
4번의 동점 끝에 9대 9 동점을 만들자 경기장을 가득 메운 3천여 명의 관중은 '대~한민국'을 연호하며 뜨거운 응원을 보냈습니다.
관중의 응원에 힘입은 서승재-김원호 조는 상대의 아웃된 공격을 놓치지 않고 득점으로 연결했으며, 이어 서브 실수까지 유도해내며 여유 있게 인터벌을 맞이했습니다.
인터벌 이후에도 1점씩 주고받는 치열한 접전이 이어지자, 경기장에는 환호와 탄식이 교차했습니다.
둘은 16대 16 동점 상황에서 오뚝이 같은 끈질긴 수비로 상대 실책을 유도했고, 5점을 연속으로 따내 1게임을 가져왔습니다.
2게임에서 두 번의 듀스 접전 끝에 승리를 거둔 서승재는 라켓을 위로 날리고 코트에 누워 기쁨을 만끽했고, 김원호는 관중석을 향해 무릎 꿇고 포효하며 환희를 드러냈습니다.
김원호는 코리아오픈 첫 금메달을, 서승재는 강민혁과 합을 맞췄던 2022년 이후 두 번째 금메달을 목에 걸게 됐습니다.
지난 1월 처음 복식 조를 꾸린 김원호와 서승재는 코리아오픈을 비롯해 올해 총 13개의 국제 대회에 함께 나서 8번 우승했습니다.
코리아오픈 외에 올림픽과 함께 가장 권위 있는 대회로 꼽히는 세계선수권대회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었고, 3개의 슈퍼 1000 시리즈(말레이시아오픈, 전영오픈, 인도네시아오픈), 2개의 슈퍼 750 시리즈(일본오픈, 중국 마스터스)와 슈퍼 300 대회인 독일오픈에서 정상을 밟았습니다.
여자 복식 김혜정(삼성생명)-공희용(전북은행)도 금메달을 땄습니다.
둘은 오전에 열린 결승전에서 일본의 이와나가 린-나카니시 기에를 2대 0으로 꺾었습니다.
1게임 초반에는 리드를 내주고 끌려다녔지만, 15-18로 뒤진 상황에서 3연속 득점으로 동점을 만들었고, 이후 다시 3점을 내리 따내 역전했습니다.
2게임에서는 여세를 몰아 초반부터 앞서간 끝에 안정적으로 승리를 거뒀습니다.
김혜정은 정나은과 짝을 이뤄 출전했던 2024년 코리아오픈에 이어 여자 복식 2연패를 달성했습니다.
지난 11월부터 짝을 이뤄 호흡을 맞추기 시작한 김혜정과 공희용은 이날 승리로 기존 세계 랭킹 6위에서 4위로 올라섰습니다.
코리아오픈은 싱가포르 오픈(슈퍼 750), 인도네시아 마스터스(슈퍼 500), 오를레앙 마스터스(슈퍼 300)에 이어 올해 이 둘이 우승을 합작한 네 번째 국제 대회입니다.
여자 단식 세계 랭킹 1위 안세영은 2년 만에 돌아온 안방 무대에서 올해 8번째 국제 대회 우승을 눈앞에 두고 아쉽게 고개를 숙였습니다.
안세영은 여자 단식 결승에서 일본의 야마구치 아카네(4위)에게 2대 0으로 져 대회 준우승을 거뒀습니다.
이로써 안세영은 올해 야마구치를 상대로 첫 패배를 당했습니다.
최근 세 번의 경기에서 모두 여유롭게 이겼던 안세영은 야마구치와 상대 전적 14승 15패를 기록하게 됐습니다.
안세영은 경기 초반부터 다소 무기력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1게임 초반 연속 공격 실수로 주도권을 잃은 안세영은 17대 17 동점까지 따라붙었지만, 다소 조급한 공격이 실책으로 이어지며 1게임을 21대 18로 졌습니다.
2게임 시작과 함께 야마구치의 날카로운 공격을 버겁게 받아내던 안세영은 몸이 무거운 듯 바닥을 짚고 무릎을 꿇기도 했고, 라켓으로 몸을 지탱한 채 숨을 고르는 모습도 보인 끝에 아쉽게 무릎을 꿇었습니다.
2022년과 2023년 코리아오픈에서 우승하며 대회 2연패를 달성했던 안세영은 이번 대회 강력한 우승 후보로 점쳐졌지만, 야마구치에게 막혀 뜻을 이루지 못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