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담야담

[여담야담] '대통령 최측근' 김현지 총무비서관, 국감 출석? 불출석?


동영상 표시하기

[편상욱의 뉴스브리핑]

인터뷰를 인용보도할 때는 프로그램명 'SBS <편상욱의 뉴스브리핑>'을 정확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저작권은 SBS에 있습니다.

■ 방송 : SBS <편상욱의 뉴스브리핑> 월~금 (14:00~16:00)

■ 진행 : 편상욱 앵커

■ 대담 : 성치훈 전 더불어민주당 정책위 부의장, 김기흥 국민의힘 미디어대변인, 최선호 SBS 논설위원

광고 영역

--------------------------------------------

● '그림자 참모' 출석 '가닥'

성치훈 / 전 민주당 정책위 부의장

"강훈식 비서실장, 모든 인사 내용 알아…김현지에게 물어볼 내용도 다 답할 수 있어"

김기흥 / 국민의힘 미디어 대변인

"총무비서관, 국민의 세금 먹는 위치인데 김현지의 기본 정보조차 파악 안 돼"

▷ 편상욱 / 앵커 : 한편 국민의힘에서는 연일 정권의 최실세로 꼽히는 김현지 총무비서관의 국정감사 출석 을 놓고 여야의 줄다리기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국민의힘은 국감 출석을 연일 요구하고 있는데 민주당은 야당의 요구에 불순한 목적이 있다고 얘기하고 있습니다. // 대통령실에 대한 국정감사 비서실장은 나오는데 김현지 비서관에 대해서 어제  까지는 못 나온다고 그랬다가 오늘 오전에 또 나온다고 그랬다가 조금 전에 보도를 보니까 또 못 나온대요. 뭐가 맞는 겁니까. 

▶ 성치훈 / 전 더불어민주당 정챙위 부의장 : 저도 모르겠습니다. 지금 일단 원래 안 나오는 걸로 얘기를 하다가 그러니까 못 나오는 게 아니라 안 나오는 걸로 얘기를 하다가 지금 언론 보도에 따르면 안 나오는 게 아니라 못 나오는 거다. 그 사유에 대해서 아마 곧 밝히게 될 거라는 지금 언론 보도가 나온 거잖아요. 그리고 문진석 원내부대표가 이야기한 이후에 김병기 원내대표가 안 나오기로 한 것에 대해서 내부에 다시 한 번 이야기를 해보겠다고 했기 때문에 아마 내부 검토도 추가적으로 있는 것으로 알고 있고요. 그런데 다만 저희가 계속 말씀드리는 것은 총무비서관이 14대 국회 이후로 출석을 안 한 적이 없다고 말하지만 보통 비서관들이 나온다고 하더라도 너희 수석 왜 안 나왔어. 너희 비서실장은 왜 안 나왔어. 이런 식으로 좀 더 책임 있는 사람을 불러내기 위한 압박은 있었어도 너 왜 너만 나오고 실무자 안 데리고 나왔어. 그런 이야기는 보통 위에 사람이 나와서 뭔가 실무적인 부분을 답변하지 못할 때 그 부분은 담당자가 압니다. 그런데 오늘 나오지 못했습니다. 이럴 때 담당자가 왜 안 나왔냐고 비판을 하는 것이거든요. 그런데 그런 상황이 지금 벌어지지도 않았습니다. 사실 인사 관련돼서 총무비서관의 전횡이 있었던 것 아니냐 이런 비판을 지금 야당에서는 계속하고 있었는데 인 사 관련돼서 대통령실 인사위원회의 위원장은 비서실장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비서실장이 모든 인사와 관련된 내용들을 알고 있기 때문에 충분히 답변을 할 수 있다고 보고 있는 상황이라서 김현지 비서관이 글쎄요 나오게 될지 안 나오게 될지는 알 수 없습니다만 저는 강훈식 비서실장이 김현지 비서관에게 물어볼 만한 질문들을 100% 다 답변할 준비가 되어 있다는 말씀드리겠습니다. 

▷ 편상욱 / 앵커 : 강훈식 비서실장이 다 답변할 수 있다는데 야당은 왜 김현지 비서관을 콕 찍어서 나오라고 그렇게 요구를 합니까. 

▶ 김기흥 / 국민의힘 미디어대변인 : 강훈식 비서실장이 좀 큰 그림을 하시면 되지. 왜 총무비서관이 답변할 것들을 다 100%  준비를 해야 됩니까. 말이 안 맞는 거고요. 그냥 나오시면 됩니다. 그런데 저희가 지금 말씀하신 것 중에서 권한이 있고 그 위치에 있는 사람이 나와야 한다고 말씀을 하셨잖아요. 그렇기 때문에 저희가 김현지 총무비서관을 부르는 겁니다. 왜냐. 우리가 강선우 후보가 여성가족부 후보자가 낙마를 했을 때 누가 전화했습니까. 강훈식 비서실장이 전화했습니까, 아니면 인사 제도비서관이 전화했으니까 인사 비서관이 전화했습니까. 아닙니다. 김현지 총무비서관이 전화를 했다는 겁니다. 왜 했을까요. 강선우 후보자 입장에서는 강훈식 비서실장이 전화하면 아마 되물었을 겁니다. 이거 대통령 뜻 맞습니까. 그런데 김현지 비서관이 전화하니까 그냥 수긍했다는 거 아닙니까. 그러니까 결국 권한과 힘이 누구한테 있는지 그래서 우리가 정확하게 지금의 권력 구도를 저희가 알고 있는 겁니다. 그래서 김현재 비서관한테 여러 가지 물을 게 많다는 거죠. 그리고 저는 이분이 예전에 의원실에 있는 보좌관 정도라면 상관없지만 국민의 세금을 먹는 위치입니다.  총무 비서관 그런데 이분에 대해서 실세라고 불리는 이 그녀에 대해서 아는 게 없습니다. 제가 기자분들도 물어봐도 모르고 또 민주당에 오랫동안 있었던 분들도 이분에 대해서 고향이 어디 있는지 대학을 어디 나왔는지 그리고 이재명 대통령과 성남시장 시절 그 전에 시민운동 하기 전에는 뭘 했는지를 모릅니다. 어떻게 이럴 수가 있죠. 그러니까 공직에 있는 사람들에 대해서 우리는 물을 수 있어야 합니다. 그 사람이 이력이 뭔지 우리가 어떤 사람을 뽑을 때 당연히 이력서를 받잖아요. 그런데 왜 기본적인 그런 정보조차 없고  심지어 지금 나오는지 안 나오는지도 가르마가 안 타졌습니다. 그런데 저는 궁금한 게 이 분의 생각이 나올지 안 나올지 물어보면 되는 거잖아요. 그런데 이게 본인이 내가 나가기 싫다고 하면 안 나오는 게 맞습니까. 아니죠. 그러니까 당연히 나와야 되는 겁니다. 그런데도 나오냐 안 나오느냐를 가지고 만약에 이분이 얘기를 안 했는데 지레 짐작으로 민주당이 이분이 안 나왔으면 좋겠다 알아서 속된 말로 디펜스를 했다, 방어를 했다. 이것도 문제고 만약에 비서실장이나 정무수석이 이분은 나오면 안 된다. 이렇게 얘기했다는 것도 문제입니다. 그러니까 여러모로 문제이기 때문에 그래서 저는 뒤늦게 당연히 나오는 게 맞다고 했는데 다시 안 나온다. 이거 봤을 때 제가 볼 때는 정말 뭐 있는 거 아닌가 같은 의혹이 짙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 편상욱 / 앵커 : 오히려 과잉 보호를 하다 보니까 의혹을 더 키우는 모양새가 됐는 데 지금 최선호 논설위원 민주당이 김현지 비서관의 국회 수석을 맡고 있다. 이렇게 비판을 하고 있지 않습니까 그런데 대통령실에서는 김현지 비서관 빼달라고 한 적이 없다. 이런 입장이에요. 이거 누구 말이 맞는 겁니까. 

▶ 최선호 / SBS 논설위원 : 제가 뭐 딱 부러지게 거기에 대해서 대통령실이 설명을 한 것 같지는 않고요. 어제 기자들이 비슷한 취지의 얘기를 하지 않았겠습니까. 이걸 왜 못 나간다고 그러냐 이게 안 나가는 게 오히려 의혹을 키우면서 손해가 큰 거 아니냐 이런 취지를 담아서 기자들도 많이 물어봤고 어제는 대통령 강훈식 비서실장이 나갈 거라고 이야기를 했거든요. 기자들한테 그렇게 답을 했습니다. 그런데 오늘 또 나온다고 그랬다가 갑자기 한겨레에서 사정이 생겨서 못 나온다. 열흘 뒤면 알게 될 것이다. 이렇게 기사를 쓰는 바람에 저희 현장 기자들 한테 지금 연락을 해 보면 현장 기자의 답변도 나올 거라고 그랬는데 그래서 지금 저희도 확인을 하고 있습니다. 이런 얘기들이 들려요. 그러니까 아직까지 상황이 좀 유동적이기 때문에 조금 더 이 상황에 취재가 정리가 되면 아마 이렇게 될 것 같다라고 설명을 해야 되지 않을까. 그런 생각이 듭니다. 

※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SBS 디지털뉴스편집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여담야담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