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지역은 합병 논의 안해"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 현지시간 20일 가자지구에 설치된 임시텐트 캠프에 이스라엘 작전 중 피난민이 된 팔레스타인들이 서 있다.

이스라엘 내각에서 요르단강 서안 점령지를 합병하는 방안이 거론되는 것과 관련해 기드온 사르 이스라엘 외무장관이 팔레스타인 자치정부가 통치하는 지역은 고려 대상이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사르 장관은 현지 시간 25일 보도된 이탈리아 일간 코리에레델라세라 인터뷰에서 "우리는 팔레스타인 사람들을 통제하고 싶지 않다"며 "PA 지역을 합병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논의할 의향조차 없다"고 말했습니다.

또 "PA 관할이 아닌 곳에 있는 이스라엘 공동체에 이스라엘 법을 적용하는 것을 논의할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그는 "여러 선택지가 있다"면서도 이는 결정된 것이 아니라고 덧붙였습니다.

이 발언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3일 유엔총회를 계기로 이슬람권 지도자들과 만나 '팔레스타인 자치정부가 통치하는 서안 지역을 이스라엘이 흡수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겠다'고 언급한 직후 나왔다는 점에서 주목됩니다.

최근 팔레스타인을 주권국가로 인정한다는 각국 선언이 잇따르자 이스라엘에선 팔레스타인 지역 합병을 추진하자는 주장이 커졌습니다.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가 이번 주 유엔총회,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 등을 마치면 논의가 본격화할 전망입니다.

광고 영역

합병 논의를 주도하는 베잘렐 스모트리히 이스라엘 재무장관은 이달 초 "이스라엘 주권이 이 지역(서안)의 약 82%에 적용돼야 한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이는 서안을 구획하는 A·B·C구역 가운데 전체 면적의 60% 정도인 C구역과 22%인 B구역을 합병하겠다는 구상으로 보입니다.

C구역은 이스라엘이 군사·행정권을 모두 통제하며, 대부분의 유대인 정착촌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B구역은 PA가 행정권을 갖지만 이스라엘이 치안 부문을 함께 관할합니다.

PA가 행정과 치안을 전담하는 A구역은 서안 면적의 18%에 불과합니다.

이스라엘 안팎에서는 실제 합병을 추진한다면 C구역만 대상이 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혹은 서안과 요르단 국경에 있는 '요르단 계곡'이나 이스라엘과 서안을 구분하는 그린라인 인근 정착촌들만 대상이 될 수도 있습니다.

민족주의적 성향의 유대인들은 1967년 3차 중동전쟁에서 이스라엘이 점령한 서안을 유대교 경전인 구약성서 모세오경 표현대로 '유대와 사마리아'로 부르며 정착촌을 조성해 거주하고 있습니다.

국제사회는 이를 불법으로 간주합니다.

(사진=AP,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