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영 통일장관 "남북 사실상 두 국가…영구 분단 의미는 아냐"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 정동영 통일부장관이 지난 19일 경기도 파주시 캠프 그리브스에서 열린 9.19 평양공동선언 7주년 기념 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남북이 현실적으로 두 국가라는 입장을 재확인하면서, 이것이 영구분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정동영 장관은 오늘(25일) 기자간담회에서, 남북이 "사실상의 두 국가, 이미 두 국가, 국제법적으로 두 국가"라며, "적게는 50∼60% 국민이 북한을 국가라고 답한다"고 말했습니다.

정 장관은 그러면서도 "두 국가라는 것, 북한의 국가성을 인정하는 것이 영구분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며, "잠정적으로 통일을 향해가는 과정에서 생긴 특수관계 속에 국가성을 인정하는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정 장관은 "현실적, 실용적 관점이고, 유연하게 남북관계를 보는 것"이라며 "이재명 정부의 국정과제에 남북기본협정 체결이 들어 있는데 이는 두 국가를 인정하는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지난 23일 "정부는 두 국가론을 지지하거나 인정하지 않는다"고 밝힌 것과 관련해, 정 장관은 "적대적인 두 국가로 인정할 수 없다는 뜻 아닐까 한다"고 말했습니다.

정 장관은 통일부와 국방부·외교부·국정원의 의견이 다를 수 있다면서 "용광로에 의견을 녹여내서 대통령이 제시한 교류 대화를 빨리 복원하는 것, 관계정상화 추진하는 것, 비핵화 추진하는 것을 위해 한 팀으로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정 장관은 또, "제재를 통해 북핵을 포기한다"는 것은 "가능성이 없다"고 말하면서, "돌파구는 북미 정상회담"이라고 밝혔습니다.

광고 영역

9.19 군사합의 복원과 관련해 정 장관은 "9·19 합의가 복원되기 전이라도 군사분계선 일대 사격훈련과 실기동훈련을 중지하는 것이 맞는다는 게 통일부의 입장"이라며, 국방부와 협의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정 장관은 비전향 장기수들의 북송 요청에 관해서는 "내부 방침은 정해져 있다"면서도 "남북대화 채널이 열려서 그러한 뜻을 전하고, 답을 듣는 것이 최소한의 절차"라며 북한의 호응이 필요하다는 취지로 답했습니다.

우크라이나에 붙잡힌 북한군 포로 2명의 국내 송환에 대해서는 "경과를 파악하지 못했지만, 우크라이나 정부가 부정적이라는 입장을 전해 들었다"고 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