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대기업 공익법인 수입대비 사업수행비용 상하위 10개사
지난해 대기업집단 산하 공익법인 4곳 중 1곳은 수입의 절반도 사업비에 쓰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KCC의 경우 수입의 불과 1.4%를 사업비로 써 전체 조사대상 그룹 중 가장 적었습니다.
24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공시대상기업집단의 특수관계인인 공익법인의 사업수행비 지출 현황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73개 그룹 188개 공익법인의 사업수입은 9조 5천954억 원, 사업수행비용은 6조 9천209억 원으로 수입 대비 사업수행비용 비율은 72.1%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전년도 72.7%에 비해 0.6% 포인트 하락한 수치입니다.
CEO스코어는 전년 9조 7천767억 원 대비 공익법인 수입이 감소하면서, 지난해 대기업 공익법인 188곳 중 83곳(44.1%)이 사업수행비용을 줄였다고 설명했습니다.
아울러 사업수행비용이 제대로 지출되지 않고 있다면, 공익법인이 본래 설립 목적에 따라 공익사업에 집중하기보다 오너 일가의 지분 방어나 절세를 위한 수단으로 전락했다는 평가를 받을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지난해 전체 조사대상 73개 대기업집단 중 수입 대비 지출이 절반을 밑돈 곳은 17곳(23.3%)이었습니다.
KCC가 1.4%로 가장 낮았고, LS(4.4%), KG(13.6%), 동국제강(16.4%), 롯데(22.2%), 한화(23.6%), KT(23.8%)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대기업 공익법인 중 사업수행비용 지출이 2년 동안 전무한 곳도 있었습니다.
SK 공익법인인 행복전통마을은 2023년과 2024년 각각 12억 원, 14억 원의 수입이 발생했으나, 이 기간 사업수행비용은 0원이었습니다.
SM 공익법인인 필의료재단은 사업비용을 모두 일반관리비용으로 분류한 결과 사업수행비용이 2년 연속 전무했습니다.
수입 대비 사업수행비용 비율이 가장 높은 대기업집단 1위는 신영이었습니다.
신영문화재단은 지난해 수입이 0원이었으나, 1억 8천600만 원을 사업수행비용으로 지출했습니다.
이어 아모레퍼시픽(211.3%), 넥슨(120.9%), 카카오(115.5%), 하림(108.5%), 영풍(103.3%), 부영(101.2%), 현대백화점(100.9%) 등 순이었습니다.
사업수행비용이 액수 기준으로 가장 많이 줄어든 곳은 HD현대로 조사됐습니다.
지난해 HD현대 그룹 산하 9개 공익법인의 사업수행비용은 2조 8천966억 원으로, 전년 3조 927억 원 대비 1천961억 원 감소했습니다.
사업수행비용 액수가 가장 많이 증가한 곳은 현대자동차였습니다.
현대자동차 산하 5개 공익법인의 사업수행비용은 2023년 3천121억 원에서 지난해 3천341억 원으로 220억 원 늘었습니다.
이번 조사는 명확히 공개된 대기업 소속 공익법인 리스트가 확인되지 않아 연 1회 공시(계열사 지분 보유 공익법인, 특수관계인인 공익법인과의 거래에 공시된 공익법인), 그룹별 홈페이지 및 언론보도 등을 참고해 조사대상을 선정했습니다.
학원법인이 아닌 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소금융재단(성균관대학, 삼성미소금융재단 외 18곳), 총수일가 특수관계 해소 및 특수관계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불명확한 공익법인, 2023년 이후 설립된 곳은 조사에서 제외했습니다.
(사진=CEO스코어 제공,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