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배 인상에 "우릴 쉽게 보나"…커지는 반감


동영상 표시하기

<앵커>

미국이 미국 여행을 할 때 필요한 허가증 이스타의 수수료를 이달 말부터 2 배로 올리기로 하면서 미국 여행을 가려던 사람들은 당황스럽다는 반응입니다. 여행사들도 이스타 신청 대행 비용을 이번 주부터 줄줄이 올릴 예정입니다.

엄민재 기자입니다.

<기자>

비자 없이 미국에 갈 수 있는 전자여행 허가증 이스타 수수료가 오는 30일부터 2배 가까이 오르면서 미국 여행을 계획하던 사람들은 황당함과 부담을 호소했습니다.

[최종인/서울 강서구 : 평범한 사람들은 부담이 좀 많이 커가지고 여행 가기에도 좀 살짝 껄끄러워하지 않을까….]

온라인 카페에는 오르기 전에 서둘러 신청하라는 글이 이어졌습니다.

여행사에도 문의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여행업계 관계자 : 유효기간이 2년이라서 미리 받는 분도 계시지만, 손해 보기 싫으니까 '그때(30일 전에) 신청할래요' 하는 분도 계시고. 그래서 기존에 예약된 손님들한테는 다 인폼(통지)을 했대요.]

주요 여행사들은 현재 5만 원에서 6만 원 받던 이스타 신청 대행 수수료를 이번 주 내에 8만 원으로 올리기로 했습니다.

광고 영역

지난해 170만 명이 미국을 찾은 걸 감안하면 약 450억 원을 미국에 더 내야 할 상황입니다.

자국 내 반이민 정서에 편승하고 있다지만 관광객들에게까지 돈을 더 받겠다는 이런 조치에 반감도 커졌습니다.

[김창민/경기도 의정부 : 우리를 너무 쉽게 보는 거 아닌가 싶기도 하고, 안 그래도 한 푼이라도 더 아끼려고 하는 판에 그것도 올리게 되면 아무래도 그것도 하나의 부담이….]

전문직 비자인 H1-B 수수료를 100배나 올렸다는 소식에 국내 기업들은 주재원용인 L-1이나 B-1 비자를 주로 활용해 영양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고 있지만 현지 법인 인력 채용에 부담이 커지 않을까 걱정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비자 정책이 이렇게 오락가락하는 상황이면 대미 투자가 제대로 진행될 수 있겠냐는 불만도 엿보입니다.

또 우리 정부가 요구하는 B-1 상용비자 확대나 한국 전용 비자 신설을 미국이 받아들인다 해도 거액의 수수료를 요구할 가능성도 우려하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배문산, 영상편집 : 조무환)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