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집사' 김예성 측 "특검 수사 대상 벗어난 별건 기소"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 '김건희 집사' 김예성 씨

김건희 여사의 '집사'로 알려진 김예성 씨 측이 첫 재판에서 김 여사의 각종 의혹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별검사팀의 수사 대상을 벗어난 별건 기소라며 위법성을 주장하고 나섰습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6부(이현경 부장판사)는 오늘(22일)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법상 횡령 혐의로 기소된 김 씨의 첫 공판준비기일을 열었습니다.

김 씨 측은 "특검법이 정하는 수사 대상을 벗어난 별건 기소"라며 "위법이라는 의문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특검팀은 인지 사건으로 수사 대상이라는 입장인데, (특검법이 정한) 1∼15호의 개별 사건과 이 사건이 어떤 관련이 있는지 수사·영장 청구 단계에서 입증된 게 없다"며 "이런 식으로 다 수사 대상이 된다면 특검법이 수사 대상을 한정적으로 열거한 취지가 몰각될 수밖에 없다"고 언급했습니다.

그러면서 "특검팀이 말하는 개별 사건들의 주체는 모두 김건희이고, 김건희가 지위를 이용해 사적 이득을 취득했다고 한다"며 "그런데 공소사실 어디에도 김건희 연관이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에 대해 특검 측은 "비마이카를 통해 김 여사가 부당한 이득을 취득한 사건으로 비마이카는 코바나컨텐츠 전시에도 협찬했다"며 "특검 수사 대상 2호(김건희가 운영한 코바나컨텐츠 관련 전시회에 기업들이 뇌물에 해당하는 협찬을 제공하였다는 의혹 사건)에 해당한다"고 반박했습니다.

아울러 김 여사가 윤 전 대통령의 지위를 이용해 사적 이익을 추구한 의혹에도 해당한다며 특검의 수사 대상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광고 영역

비마이카는 김 씨가 설립에 참여하고 지분까지 가진 렌터카 업체 IMS모빌리티의 과거 이름입니다.

특검팀은 IMS모빌리티가 2023년 사모펀드 운용사 오아시스에쿼티파트너스를 통해 카카오모빌리티, HS효성, 신한은행 등으로부터 184억 원의 부당한 투자를 받았다고 보고 있습니다.

투자 주체들이 김 씨와 김 여사의 친분을 생각해 대가성 자금을 제공했다고 특검은 판단하고 있습니다.

재판부는 "10월에 준비기일을 마무리하고, 11월에 증인신문을 진행하겠다"며 "가급적 12월이나 내년 1월 (재판이) 끝나는 것으로 계획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재판부는 다음 달 24일 한 차례 더 준비기일을 진행한 뒤 본격적인 재판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김 씨는 IMS모빌리티 자금 48억 원을 횡령한 혐의(특경법상 횡령)로 지난달 29일 기소됐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3대 특검(내란·김건희·채상병)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