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297만 명의 회원정보가 유출된 롯데카드를 쓰는 고객들 사이에서도 불만이 터져나오고 있습니다. 문의를 하려해도 앱에 접속하는 것도, 상담원과의 통화도 제대로 안 되고 있다는 건데요. 정부는 잇따르는 해킹 사고에 대응하기 위해, 해킹 당한 기업에 징벌적 과징금까지 물리는 방향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노동규 기자입니다.
<기자>
전체 회원의 3분의 1에 가까운 297만 명의 고객 정보가 털렸다는 발표 이후, 롯데카드 앱과 홈페이지엔 정보 유출 여부를 확인하려는 회원과 해킹 통지를 받은 가입자가 몰리면서 접속 장애가 이어졌습니다.
앱 작동이 제대로 안 되면서 스마트폰 간편 결제가 막히기도 했습니다.
[정 모 씨/롯데카드 가입자 : 완전히 먹통이에요. 거기에서 문자로 QR코드 보내준 대로 하라 그래서 했는데도 먹통, 어젯밤부터 지금까지 전화를 했는데도 다 먹통.]
24시간 전용 상담센터를 운영하겠다고 했지만, 상담원 목소리를 듣기까지 2시간 가까이 걸리기도 했습니다.
[선 모 씨/롯데카드 가입자 : 업무시간이 끝났다, 음성이 나오다가, 음악이 나오다가. 뭐 이런 식으로 계속 그러다가 결국은 1시간 40분인가? 이때까지 계속 전화기를 켜 놓은 거예요.]
카드 유효기간과 CVC 등 핵심 정보가 유출된 28만 명은 카드를 재발급 받는 게 안전한데, 문자로만 통지하다 보니 제때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롯데카드 가입자 : 잠깐만요, 내가 이거(문자 확인) 오늘 못 봐서… 어, 문자 안 왔어요. 문자 없네요? 어? 있다. 어머. 어저께 밤에 9시 46분이네요. 좀 당황스럽네요.]
롯데카드가 내놓은 무이자 10개월 할부 등 피해 구제 대책도 카드를 더 써야만 누릴 수 있는, 고객 이탈 방지용일 뿐이라는 지적도 나옵니다.
롯데카드 보안 위반 사항에 대해 '일벌백계' 방침을 천명한 금융당국은, 금융회사 전산시스템과 정보보호 체계 전반에 대한 긴급 점검을 지시했습니다.
[권대영/금융위원회 부위원장 : 보안사고 발생 시 사회적 파장에 상응하는 엄정한 결과책임을 질 수 있도록 '징벌적 과징금' 도입 방안을 신속히 추진하겠습니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도 롯데카드 해킹 사건에 대한 본격 수사에 착수했습니다.
(영상취재 : 김한결, 영상편집 : 김진원, VJ : 정한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