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시진핑 둘 다 APEC 온다…'경주 외교전' 주목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의 내달 말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이 가시화했습니다.

무역과 안보 등에서 전방위적 전략경쟁을 진행 중인 두 정상이 트럼프 2기 들어 처음으로 대면하는 곳이 경주가 될 수 있다는 의미로, 이들은 APEC 회원국을 상대로 치열한 외교전을 펼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오늘(18일) 외교가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의 APEC 정상회의 참석은 아직 공식화되진 않았지만, 사실상 결정된 분위기입니다.

조셉 윤 주한미국대사대리는 전날 연설에서 한미 양국 대통령이 "경주 APEC에서 만나실 것"이라고 말해 트럼프 대통령의 참석을 사실상 예고했습니다.

시 주석도 마찬가지입니다.

조현 외교부 장관은 역시 전날 중국과의 외교장관 회담 이후 시 주석의 APEC 계기 방한에 대해 "확실한 것으로 느꼈다"고 말했습니다.

중국 측이 시 주석의 방한을 약속했다는 의미로 풀이됩니다.

광고 영역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이 내달 31일부터 이틀간 열리는 경주 APEC 정상회의에 참석한다면 2012년 핵안보정상회의 이후 13년 만에 미중 정상이 나란히 한국을 방문하는 사례가 됩니다.

두 정상은 APEC이라는 다자 경제 협의체를 세계 통상 질서에 대한 자국의 입장을 설파하는 기회로 삼을 가능성이 큽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고율의 상호관세를 각국에 부과하는 등 세계 무역 환경을 뒤흔들고 있는데, 더는 과거의 통상 질서가 유효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하며 각국이 이에 협조할 것을 압박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시 주석은 이런 미국의 조치를 강하게 비판하며, '자유로운 국제무역 질서'를 강조할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 왕이 외교부장은 전날 한중외교장관회담에서도 "중한은 모두 경제 글로벌화의 수혜자로서 국제 자유무역 체제를 수호해야 한다", "일방적 괴롭힘이 횡행하는 정세 속에 무역 보호주의에 공동으로 반대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상호관세 부과 등을 통한 자국 중심주의를 앞세우는 미국에 반대해 한국과 중국이 뭉쳐야 한다는 뜻으로 해석됩니다.

관심은 이런 미중의 대립을 지켜볼 APEC 회원국들이 어떤 자세를 취할지입니다.

APEC은 미국 앞마당이나 다름없는 태평양 연안이 지역적 배경이고, 1989년 출범 당시 미국을 포함해 캐나다·일본·호주·한국 등 미국의 주요 우방들이 참여했으며, 중국은 1991년 뒤늦게 동참했습니다.

미국에 우호적인 분위기가 형성되고 미국이 내는 메시지에 먼저 눈길이 가는 게 자연스러운 APEC이지만, 트럼프 2기 행정부 들어 열리는 첫 APEC 정상회의인 이번에는 판이한 기류가 흐를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박원곤 이화여대 교수는 "중국이 미국을 상대로 자유무역을 외치기는 하나 트럼프 대통령 전까지만 해도 비관세 장벽을 잔뜩 쌓은 건 중국이었기에 (중국의 메시지를) 진정으로 믿는 국가는 많지 않다"며 미중이 각자 입장만 내세우다가 화합을 중시하는 APEC의 목표와는 멀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한편 미중이 경주에서 양자 회담을 가질지도 관심사입니다.

관세·무역 회담을 이어오는 양측이 경주에서 정상 간 담판을 벌이려고 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국립외교원 민정훈 교수는 "미중 모두 관계 관리에 관심이 많기에 굳이 충돌할 이유는 없을 것"이라며 "한국은 의장국으로서 의제에 부합하는 합의문을 끌어내는 한편 미중 간 (갈등을) 톤다운시켜서 미중 정상회담을 조율해 주는 게 바람직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