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이 오는 17일~19일 자국을 국빈 방문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환대하기 위해 왕실의 '소프트파워'를 발휘할 예정이라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영국을 국빈 자격으로 방문하는 건 집권 1기 시절이던 2019년에 이어 두 번째로, 역대 미국 대통령 중 두 차례 영국 국빈 방문은 처음입니다.
영국 국빈 방문은 영국 정부의 조언에 따라 성사되지만 초청 주체는 국왕이며 특히 전통적인 왕실 의전 때문에 외교무대에서 특별한 의미를 갖습니다.
트럼프 대통령과 영부인 멜라니아 여사는 오는 17일 영국에 도착하면 레드카펫을 밟으며 극진한 예우를 받습니다.
다음날에는 왕위 계승자인 윌리엄 왕자와 케이트 미들턴 왕세자빈이 이들을 영접합니다.
이어 마차 행렬, 성대한 국빈 만찬, 군용기 편대 비행, 예포 발사 등이 이어집니다.
영국 정부는 이번 방문이 미국과의 방위·안보 협력을 강화할 기회가 되기를 바라는 가운데, 왕실이 협력을 촉진하는 '비장의 무기'가 되리라 기대한다고 로이터는 전했습니다.
지난 2월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관세 문제 등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를 얻으려 할 때도 영국은 '왕실 카드'를 꺼내 들었습니다.
백악관에서 이들 사이에 다소 어색한 공기가 흐르던 순간, 스타머 총리는 찰스 3세 국왕이 보낸 초청장을 꺼내 트럼프 대통령에게 전례 없는 두 번째 영국 국빈 방문을 제안했습니다.
이 제안에 트럼프 대통령은 크게 기뻐하며 스타머 총리에게 "그(찰스 국왕)는 아름답고 훌륭한 분"이라며 "당신의 나라는 환상적인 나라이고 우리가 그곳에 가는 것은 영광"이라고 말했습니다.
왕실도 외국 귀빈에게 주는 왕실의 매력을 잘 알고 있습니다.
찰스 국왕의 재무관 제임스 챌머스는 "소프트파워는 측정하기 어렵지만 그 가치를 국내외에서 확실히 알아주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로이터는 "한때 세계 최대 제국의 수장이었던 영국 왕실의 주요 외교 임무는 이제 국빈 행사에서 트럼프 같은 세계 지도자들을 매혹하고 환대하는 일이며, 이를 통해 그들이 영국을 호의적으로 보기를 기대하는 것"이라고 짚었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