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기훈 삼부토건 부회장(겸 웰바이오텍 회장)이 경찰에 체포돼 11일 서울 종로구에 마련된 김건희특검 사무실로 들어서고 있다.
수사 중 구속 심사를 피해 도주했다가 55일 만에 검거된 이기훈 삼부토건 부회장 겸 웰바이오텍 회장을 상대로 다시 구속 여부를 가를 법원 심사가 오늘(12일) 오후 열립니다.
김건희 특검팀은 오늘 오후 3시 30분 서울중앙지법에서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를 받는 이 부회장의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이 열린다고 밝혔습니다.
심사 결과는 오늘 중 나올 전망입니다.
이 부회장은 2023년 5∼9월 삼부토건 주가조작에 가담해 수백억 원 상당의 부당이익을 취한 혐의(자본시장법 위반)를 받습니다.
삼부토건 측은 2023년 5월께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을 추진할 것처럼 투자자들을 속여 시세를 조종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우크라이나 재건주로 분류된 삼부토건은 2023년 5월 1천원 대였던 주가가 2개월 뒤 장중 5천500원까지 급등했습니다.
특검팀은 이 부회장을 삼부토건 주가조작의 핵심 인물로 보고 지난 7월 14일 구속영장을 청구했으나 그는 같은 달 17일 영장실질심사에 출석하지 않고 도주했습니다.
미체포 피의자에 대해서는 시간 여유를 두고 영장심사가 열리는 틈을 노려 그대로 달아난 것입니다.
경기 가평, 전남 목포, 경북 울진, 충남, 경남 하동 등을 전전하며 특검의 추적을 따돌려온 그는 55일 만인 전날 목포의 한 빌라에서 검거됐습니다.
이미 도주 전력이 있는 점을 고려하면 이번 영장은 발부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구속 사유의 중요한 요건 중 하나가 '도망 또는 도망할 염려가 있는 때'입니다.
신병이 확보되면 이 부회장이 주도한 웰바이오텍의 주가조작 혐의 수사도 급물살을 탈 전망입니다.
웰바이오텍은 삼부토건과 함께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에 참여할 것처럼 투자자들을 속여 시세를 조종한 혐의를 받습니다.
특검팀은 이 부회장을 삼부토건과 웰바이오텍을 잇는 접점으로 봅니다.
특검팀 수사가 이 부회장을 고리로 김 여사에게로 향할 수 있다는 전망도 있습니다.
앞서 김 여사의 측근으로 지목된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 대표가 삼부토건 주가 급등 전 메신저 단체 대화방에 '삼부 내일 체크'라는 메시지를 남긴 사실이 드러나면서 김 여사의 주가조작 연루 가능성이 제기됐습니다.
이 전 대표는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에서 김 여사의 계좌 관리를 맡은 인물입니다.
하지만 특검팀은 별다른 단서를 찾지 못했고 이 전 대표를 변호사법 위반 혐의로만 기소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