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 6만 8천% 악질사채 일당…못 갚으면 '얼굴 박제' 전단 살포


오프라인 본문 이미지 - SBS 뉴스

▲ 사채조직이 제작한 피해자 얼굴이 담긴 전단지

돈을 빌려준 뒤 최고 연 6만% 이자를 요구하고, 이를 못 갚으면 가족과 지인들을 협박한 사채조직이 경찰에 덜미를 잡혔습니다.

서울경찰청 형사기동대는 40대 남성인 조직 총책 등 총 32명을 붙잡아 검찰에 송치했다고 오늘(11일) 밝혔습니다.

대부업법 위반, 채권추심법 위반 등 혐의로 송치된 17명 중 11명은 구속됐습니다.

이들에게 대포폰을 제공한 15명은 전기통신사업법 위반 등 혐의로 불구속 송치했습니다.

이들은 2020년 7월부터 작년 11월까지 대구 지역에서 활동하며 전국 각지의 채무자에게 법정 이자(연 20%)를 초과한 이자를 받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광고 영역

10만∼30만 원을 빌려준 뒤 6일 후에 갚는 초단기 소액 대출이었는데, 연이율 4천%가량 이자를 받는 식입니다.

제때 돈을 갚지 못하면 하루 5만 원의 연체료도 붙었습니다.

피해자 A 씨는 2023년 5월 24일 30만 원을 빌린 뒤 약 7개월 뒤 311만 원을 갚아야 했다고 합니다.

이자율과, 연체료 등을 고려했을 때 연이율이 6만 8천377%가량에 달한다는 게 경찰의 설명입니다.

다른 피해자 B 씨는 돈을 갚기 힘들 때마다 조직원에게서 새로운 대부업자를 소개받았는데, 사실은 이들 또한 같은 조직원인 '돌림 대출' 피해를 보기도 했습니다.

B 씨는 이 조직에 204회에 걸쳐 7천만 원을 대출받고는 총 1억 6천만 원을 갚았습니다.

경찰이 파악한 피해자는 103명입니다.

조직은 이들에게 총 7억 1천만 원을 빌려주고는 18억 원을 갈취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오프라인 본문 이미지 - SBS 뉴스
사채조직의 피해자 협박 예시

인터넷 카페 등에 '저신용자도 소액대출이 가능하다'는 식으로 피해자를 끌어모은 이들은 돈을 빌려줄 때 가족과 지인의 연락처, 자필 차용증과 얼굴을 함께 찍은 사진을 요구했습니다.

제때 갚지 못하면 이를 이용한 악질 추심이 이어졌습니다.

본인, 가족, 지인들에게까지 협박 메시지를 보내고, 페이스북 등 SNS에 피해자의 신상정보가 적힌 계정을 만들어 모욕하고 상환을 촉구하는 등의 방식입니다.

피해자 사진이 첨부된 추심 협박용 전단지가 이들의 사무실에서 발견되기도 했습니다.

경찰은 조직원들이 이 전단지를 피해자 거주지 인근에 뿌려 협박하려 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들은 기록이 남지 않는 비대면 방식으로 활동하는 치밀함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돈을 빌려줄 때는 무통장입금 방식을 쓴 뒤, 회수할 때는 실물통장과 카드 대신 본인인증 후 일시적으로 발급된 번호를 활용하는 스마트출금 방식을 활용했습니다.

사무실 위치를 수시로 변경하거나 현금으로만 정산하는 등의 내부 규칙을 세워 신원 노출을 최소화했습니다.

검거된 인원들 상당수는 가족과 친구, 선후배였습니다.

광고 영역

영업과 추심, 출금 등 담당을 체계적으로 세분화한 모습을 보였다고 경찰은 설명했습니다.

작년 4월 첩보를 입수한 경찰은 7∼11월 피의자를 특정하고 사무실 등을 압수수색, 조직원을 체포했으며 휴대폰과 노트북, 장부 등을 확보했습니다.

또 기소 전 추징보전 조치로 15억 원 상당의 범죄수익을 동결했습니다.

경찰은 ATM 스마트출금을 이용한 범죄를 막을 수 있도록 본인 인증이 이뤄진 스마트폰과 실제 입금 위치 간 거리가 멀면 추가 확인을 거치는 등의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금융감독원에 제안했습니다.

오프라인 본문 이미지 - SBS 뉴스
사채조직의 이자조건 예시

(사진=서울경찰청 형사기동대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