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인천에서 처음으로 나온 KT 소액결제 피해자가 피해가 집중된 경기 광명과 서울 금천 일대를 매일 지나다닌 걸로 확인됐습니다. 경찰은 이걸 근거로 다른 피해자들의 주거지 말고도 근무지와 이동 경로가 범행과 연관이 있는지 조사에 나섰습니다.
권민규 기자입니다.
<기자>
그제(9일) SBS 단독 보도를 통해 인천 거주자 중에는 처음으로 KT 통신사 관련 휴대전화 소액결제 피해자로 확인된 A 씨.
A 씨도 피해자들이 집중됐던 경기 광명시와 서울 금천구 사례들과 똑같이 새벽 시간대에 자신의 명의로 몰래 만들어진 상품권 구매 사이트 계정을 통해 27만 5천 원 소액결제 피해를 당해 경찰에 신고했습니다.
그런데, 경찰이 인천 부평구에 사는 A 씨의 직장이 서울 금천구에 있고, 자신의 차로 출퇴근을 할 때 휴대전화 소액결제 피해가 컸던 광명 하안동의 아파트 단지 옆을 매일 지나간다는 점에 주목하고 수사를 진행 중인 걸로 SBS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
[A 씨/인천 소액결제 피해자 : 광명나들목을 빠져나와서 하안동을 통과해서 금천교를 건너서 제가 직장까지 도착하는 경로거든요.]
경찰이 A 씨가 금천과 광명에 머무는 동안 몰래 설치된 불법 초소형 기지국인 '펨토셀'에 의해 개인정보를 탈취당한 뒤 피해자가 대응하기 어려운 새벽 시간에 범행이 일어났을 것으로 보고 있는 겁니다.
이에 따라 경찰은 관련 피해자들의 근무지와 출퇴근 이동 경로 등 동선이 이번 범행과 연관성이 있는지 확인하는 데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앞서 KT가 파악한 피해 건수 중 이번 사건 담당인 경기남부경찰청에서 유사성 검토를 마친 피해는 광명 61건, 금천 45건, 부천 6건 등 모두 124건, 피해액은 8천600여만 원입니다.
하지만 A 씨 사례인 인천 부평 1건과 과천 7건 등 다른 지역 경찰서에서 수사가 진행 중이거나 아직 피해 사실조차 인지하지 못한 피해자들도 상당수 있을 것으로 보여 피해 규모는 더욱 커질 걸로 경찰은 보고 있습니다.
민관 합동조사단이 지금까지 피해가 발견된 곳 이외의 장소에서도 불법 기지국이 접속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밝힌 만큼 알려진 지역 외에서도 관련 피해가 확인될 가능성이 커 이번 사건 파장이 더 커질 전망입니다.
(영상취재 : 하륭·강시우, 영상편집 : 김준희, 디자인 : 방민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