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이른바 VIP 격노 이후 이뤄진 채상병 사건 기록 회수는, 박정훈 대령에 대한 보복성 수사로 이어졌습니다. 사건기록을 회수하라고 처음으로 지시한 사람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었다는 진술을 특검이 확보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한성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채 상병 순직 사건을 조사한 박정훈 대령은 2023년 7월 30일, 임성근 사단장을 혐의자로 파악한 조사 결과에 대해 이종섭 당시 국방장관의 결재를 받고 사건 기록을 경찰에 이첩하기로 했습니다.
그런데 이튿날 윤석열 전 대통령의 이른바 'VIP 격노' 회의 뒤 모든 절차는 중단됐습니다.
하지만 박 대령은 8월 2일 당초 조사 결과대로 사건을 경찰에 이첩했고, 국방부는 그날 오후 경찰에서 기록을 회수해 갔습니다.
긴박했던 이 과정을 수사해 온 특검팀은 기록 회수 첫 지시자를 윤 전 대통령으로 특정했습니다.
2일 당일 오후에만 윤 전 대통령과 10차례 통화한 것으로 드러난 이시원 전 비서관은 특검팀 조사에서 "대통령으로부터 기록 회수 지시를 받은 게 맞는 것 같다"는 취지로 진술한 걸로 확인됐습니다.
또, 같은 날 오후 신범철 전 국방차관이 주재한 회의에 참석한 유재은 전 법무관리관은 "신 차관이 회의 시작 즈음 전화를 받은 뒤 기록 회수를 지시했다"고 진술한 걸로 파악됐습니다.
당시 신 전 차관과 8분 동안 통화한 건 윤 전 대통령이었습니다.
특히 이 회의에선 박 대령 항명죄 입건 지시가 내려진 정황도 포착됐습니다.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이 대통령실 비서관과 국방차관까지 움직여 기록 회수에 직접 관여하고, 박 대령 처분과 관련해 지시도 내린 것으로 의심하고 있습니다.
특검팀이 해당 의혹과 관련해 어제(10일) 신 전 차관을 소환함에 따라 윤 전 대통령에 대한 조사도 임박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김승태, 영상편집 : 이상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