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KT 가입자를 노린 무단 소액결제 사건 수법으로 불법 초소형 기지국이 지목됐습니다. 휴대전화와 통신사 기지국 사이에 오가는 정보를 중간에서 가로챘을 가능성이 제기된 겁니다.
김관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정부는 KT 가입자를 겨냥한 무단 소액결제 사고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불법 초소형 기지국을 통한 접속이 확인됐다고 밝혔습니다.
KT 시스템에 등록돼 있지 않은 새로운 기기가 발견된 겁니다.
[류제명/과학기술정보통신부 2차관 : 피해자의 통화 기록 분석을 통해 미등록 기지국 접속을 9월 8일 오후에 확인하였고….]
초소형 기지국은 신호가 약한 실내 등에서 통신 품질을 높일 때 쓰이는 장비입니다.
휴대전화 단말기와 통신사 기지국을 더 원활하게 연결해 주는 겁니다.
펨토셀이란 제품이 대표적인데, 단말기와 기지국 중간에서 정보를 가로챈 뒤, 소액 결제 등 범행에 활용됐을 가능성이 큰 겁니다.
펨토셀의 전파 범위는 수십m 정도이지만, 증폭기 등을 결합시키면 수백m 이상으로 넓어질 수도 있습니다.
[문종현/지니언스(사이버 보안업체) 이사 : (초소형 기지국을 통해서) 고객의 정보가 다 넘어가 가지고 악용될 수 있는 거냐, 소액결제가 될 수 있는 거냐는 또 다른 문제이기 때문에 기술적 검토도 필요할 것 같고….]
불법 초소형 기지국 접속이 확인된 이상, 이걸 누가 설치했고, 또 어떻게 KT 통신망에 접속했는지 밝히는 게 관건이 될 걸로 보입니다.
초소형 기지국은 무단 설치 자체가 불법인데, 중고 시장에서도 거래될 만큼 구하기는 어렵지 않습니다.
정부는 KT가 발견한 불법 초소형 기지국 흔적 외엔 추가로 발견된 건 없다고 밝혔습니다.
또, 통신 3사 모두 신규 초소형 기지국의 통신망 접속을 차단하도록 조치했습니다.
[류제명/과학기술정보통신부 2차관 : 불법 초소형 기지국에서의 이상 트래픽 정보를 금일 중 타 통신사에도 공유하여 타 통신사가 점검할 수 있도록 조치하였습니다.]
KT가 접수한 소액결제 피해는 177건, 7천782만 원인데, KT 자체 파악 결과 278건, 1억 7천여만 원에 달하는 걸로 집계됐습니다.
아직 피해를 인지하지 못한 KT 가입자가 있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정부는 KT가 피해 금액 전액을 청구하지 않기로 했다며, 위약금 면제 여부는 조사 뒤에 판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 양현철, 영상편집 : 조무환, 디자인 : 김한길·장예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