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시민단체 '조세이 탄광 수몰사고(水非常)를 역사에 새기는 모임'의 이노우에 요코 공동대표가 9일 일본 정부 측에 요청서를 전달하고 있다.
일제강점기 조선인 노동자 136명이 숨진 일본 조세이 해저탄광에서 유골을 발견한 일본 시민단체가 일본 정부를 향해 DNA 분석을 서둘러 달라고 촉구했습니다.
교도통신과 마이니치신문에 따르면 '조세이 탄광 수몰사고를 역사에 새기는 모임'(새기는 모임)은 오늘(9일) 국회에서 "(유골 반환을) 기다리는 유족이 있다"며 "빨리 (DNA 분석을) 해 달라고 요구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일본 경찰은 감정용 시료가 없다는 이유 등으로 DNA 분석을 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새기는 모임은 지난달 혼슈 서부 야마구치현 조세이 탄광에서 잠수 조사를 통해 희생자 인골로 추정되는 두개골 1점과 길이 23∼42㎝의 뼈 3점을 수습했습니다.
이 단체는 인골을 발견한 이후 처음으로 오늘(9일) 일본 정부 관계자들과 만났습니다.
이노우에 요코 새기는 모임 공동대표는 "유골 위치도 깊이도 밝혀졌다"며 정부에 조사를 요청했지만, 후생노동성 관계자는 "안전성 우려가 불식되지 않았다"는 기존 입장을 고수하며 부정적 반응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새기는 모임 등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조사 자금 지원 요청도 안전성 문제를 이유로 들어 거절했습니다.
다만 일본 정부는 조세이 탄광을 조사한 일본인 잠수사로부터 의견을 듣겠다고 약속하는 등 일부 긍정적 태도를 나타냈습니다.
일본 외무성 측은 DNA 분석과 관련해 "한국 정부와 의사소통하면서 관계 부처와 협력해 대응하고자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노우에 대표는 일본 정부에 조세이 탄광 조사를 위한 별도 팀을 만들어 달라고 요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새기는 모임은 내년 2월 외국 잠수사들을 초청해 추가 조사를 실시할 방침입니다.
조세이 탄광 참사는 1942년 2월 3일 야마구치현 우베시 해안에서 약 1㎞ 떨어진 해저 지하 갱도에서 발생했습니다.
갱도 누수로 시작된 수몰 사고로 조선인 136명과 일본인 47명 등 모두 183명이 사망했습니다.
그러나 지금까지도 희생자 수습과 사고 경위를 둘러싼 진상 규명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사진=교도, 연합뉴스)